국회의원 강동원이 직접 2년간 농사지으며
연해주 농업 진출 사업을 분석한 책!
기회의 땅, 연해주!
얼마나 제대로 알고 있는가?
1990년 한·러 수교 이후 1992년부터 연해주에 우리 기업들이 진출한 이래 2014년 현재 10여 개의 회사가 연해주에서 성공적인 영농 경영을 하고 있다. 하지만 모든 진출 기업이 연해주에서 결실을 맺은 것은 아니다. 장밋빛 청사진과 구두로 된 홍보만 믿고 사전조사도 없이 무모하게 진출하여 파산까지 이른 기업들도 있다.
저자는 연해주에서 현지 법인을 설립하고 농장을 인수해 2년간 농사를 지었고, 진출 첫해부터 흑자를 달성했다. 이는 우리와 농업환경이 다른 연해주를 공략하기 위해 저자가 밤낮으로 현장을 뛰어다니고 연구한 덕분이었다. 그리고 그 경험을 글로 엮어서 자신이 쌓은 노하우를 공유하고자 한다. 이 책에 담긴 현지 법인 설립 과정과 러시아인 노동자를 고용하는 데 꼭 알아두어야 할 러시아 노동법, 실제 시행 중인 러시아 연방정부와 연해주정부의 농업발전 정책은 직접 연해주 농업을 경험하며 연구한 사람이 아니면 얻을 수 없는 생생한 정보이다. 또한 현장 체험을 통해 정리한 영농매뉴얼은 연해주 진출을 검토하고 있거나 이미 연해주에 진출한 사람들에게 유용한 가이드라인이 될 것이다.
저자 소개
저자 : 강동원
1953년 전북 남원시 덕과면 사율리 602번지에서 출생했다. 덕과초등학교, 남원용성중학교, 전주상업고등학교(현 전주제일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경기대학교에서 정치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5년 민추협 김대중 공동의장 비서, 1987년 평화민주당 재정국장, 1991년 전북도의회 의원, 1998년 새정치국민회의 후원회 사무총장, 2001년 노무현 대통령후보 호남담당 조직특보 겸 전북본부장, 2003년 개혁당 전북도당 상임대표, 2010년 국민참여당 종로지역위원장을 지냈다.
현재 19대 국회의원(전북 남원시·순창군 지역구, 새정치민주연합)이다.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 국회운영위원, 예산결산특별위원을 역임하고 지금은 국토교통위원회 소속이다. 한·니카라과 의원친선협회 회장, (사)흥사단 고문, (사)희망래일 이사, (사)대륙으로 가는 길 이사를 맡고 있다.
2008년 러시아 우수리스크에서 아로-프리모리에 법인을 설립하고 2년간 농사를 지었다. 귀국 이후 2011년 통일부 신진학자, 상지대 북방농업연구소 책임연구원을 역임하면서 남북농업문제를 연구했다. 논문으로 ?남북이 상생하는 농업협력 방안 연구?, ?러시아 연해주에서의 남·북·러 농업협력 방안 연구? 등 다수가 있다.
2007년 농수산물유통공사 상임감사 시절 ‘전자감사시스템’을 개발하고 발명특허를 출원해 정부의 공공기관에 도입시켜 공기업 혁신을 주도했다. 지은 책으로는 ??제가 바로 무능한 낙하산입니다??(2007), ??통일농업 해법 찾기??(2008, 공저), ??공기업 판도라의 상자 1, 2??(2009), ??철밥통 공기업??(2011)이 있다.
목 차
제1장|연해주와 한민족
1. 러시아 연해주와 한민족 최초 농업이민 | 2. 항일독립운동과 연해주 | 3. 우리에게 연해주는 왜 중요한가
제2장|연해주 농업 연구, 어디까지 왔나
1. 연해주 농업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 | 2. 연해주의 농업환경 | 3. 연해주 농업개발 관련 정책과 제도
제3장|한국농업의 연해주 진출 실상
1. 연해주 진출의 물꼬를 튼 두 기업 | 2. 연해주 진출 기업의 실패 사례 | 3. 연해주 진출 기업의 실패원인 | 4. 연해주에 진출한 기업현황
제4장|연해주 해외농업개발의 경제성 분석
1. 아로-프리모리에의 수익분석 | 2. 아로-프리모리에의 성공원인 분석 | 3. 경상이익을 배가시키는 방안 | 4. 농업 관련 산업의 연해주 진출 가능성
제5장|연해주에서의 남·북·러 농업협력방안
1.한국정부의 연해주 농업협력 구상방안 분석 | 2.남·북·러 농업협력방안
제6장|결론
출판사 서평
식량안보를 확보하기 위한 해외 식량생산기지 구축의 필요성,
남·북·러 3국의 농업협력 길을 찾다
세계적인 식량위기를 대비해 식량주권을 확보하기 위해서 해외 식량생산기지를 확보하는 것은 반드시 필요하다. 멀리 남아메리카나 동남아시아까지 갈 필요 없이 가까운 연해주로 눈을 돌려보자. 두만강과 접경지역인 연해주에는 우리 민족인 고려인들이 일궈놓은 119만 헥타르의 농지가 있다.
러시아, 북한, 한국의 3국 정부가 농업협력 방안을 통해 연해주 농업개발에 공동으로 참여하면 한반도의 식량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북아의 평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남한의 자본과 영농기술, 북한의 노동력, 러시아의 농지와 정책지원을 엮으면 3국의 농업협력은 가능하다. 러시아에 필요한 노동력과 자본, 기술을 남북이 함께 제공함으로써 러시아는 농업을 발전시킬 수 있고, 북한은 노동력 수출로 외화를 벌 수 있으며, 남한은 식량위기에 대비하고 남북관계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농업분야에서의 협력을 바탕으로 시베리아횡단철도와 한반도종단철도의 연계사업 등 3국 간 경제협력 사업의 추진력도 확보할 수 있다. 세 나라의 농업협력은 3국 모두에 새로운 경제 모델을 마련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 출간의의
저자가 러시아 연해주에서 2년간 직접 농장경영을 체험하면서 연해주 해외농업개발의 가능성을 분석했다. 실제 농장경영 사례를 바탕으로 연해주 농업체계를 연구, 분석한 도서는 이 책이 처음이다. 그간 연해주 농업과 관련해서 정부나 학계의 연구자들은 물론이고 연해주 농업전문가를 자칭하는 사람들이 제공하는 정보가 정확하지 않아서 학문적인 오류가 발생했을 뿐 아니라 실제 투자과정에서 손실을 입은 사업체가 생기는 등 많은 혼란이 있었다. 이러한 현실을 시정하고, 바람직한 해외농업개발의 가능성을 찾아보기 위해 이 책이 만들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