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등 국어 교육의 기본은 단어와 문장의 의미를 정확하게 아는 것에서부터 시작합니다.
□ 2022 개정 교육과정 초등 2학년 2학기 (가) 국어 교과서에 수록!
《보리 국어사전》 p.195 ‘글자’ 설명 → 초등국어 2-2(가) 3단원. 내용을 살펴요.에 수록!
□ 2022 개정 교육과정 초등 1, 2학년 전 과목 교과서 검토 후 반영!
□ 4만 개가 넘는 낱말 수록! 초등 국어사전 중 가장 많은 낱말을 실어 어휘력 향상을 돕는 사전!
□ 4천 점이 넘는 풍성한 시각 자료! 자연 관찰 백과사전이자 전통문화 백과사전!
□ 아이 스스로 찾아보고 뜻을 이해할 수 있도록 입말을 살려 최대한 쉽게 풀이한 사전!
□ 어린이 눈높이에 맞춘 쉽고 친절한 사전! 우리말과 자연, 문화를 재밌게 익힐 수 있는 사전!
□ ‘국어사전 찾기’ 수업뿐 아니라 초등 전 교과 공부에 꼭 필요한 사전!
☞ 선정 및 수상내역
2008년 KBS 책 문화대상 어린이 청소년 부문 최고의 책
2008년 한국출판문화대상 어린이 청소년 부문 수상
2008년 한겨레 올해의 책 어린이 청소년 부문 선정
2009년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간행물문화대상 저작상 수상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추천도서
상세이미지
저자 소개
감수 : 윤구병
1972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철학과를 졸업하고 〈뿌리깊은나무〉초대 편집장과 보리출판사 대표를 역임했다. 쓴 책으로 《잡초는 없다》, 《실험 학교 이야기》, 《철학을 다시 쓴다》, 《내 생애 첫 우리말》, 《꽃들은 검은 꿈을 꾼다》, 《특별 기고》, 《꿈꾸는 형이상학》 들이 있다. 〈달팽이 과학동화〉, 〈개똥이 그림책〉을 비롯해 ‘세밀화 도감’을 기획하고 펴내 어린이책의 새 지평을 열었으며, 남녘과 북녘의 학생들이 함께 보는 《보리 국어사전》을 기획하고 감수했다. 우리 아이들이 슬기롭고 지혜로운 사람으로 살아 나갈 수 있도록 《보리 속담 사전》을 기획했다. 우리나라에 사는 생물의 다양성과 자연 생태계를 이해할 수 있는 《보리 생태 사전》을 기획하였다.
저자 : 토박이 사전 편찬실
목 차
ㄱ ~ ㅎ
출판사 서평
■ 가장 새롭고 아름다운 《보리 국어사전》의 역사는 2025년에도 계속됩니다.
지난 2008년, 《보리 국어사전》이 처음 나왔을 때 이제껏 보아 왔던 사전과는 다른 새로운 모습에 수많은 언론이 주목했습니다. 쉬운 우리말 풀이에 정확하고 아름다운 그림을 곁들여 뜻풀이를 읽지 않고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어린이 눈높이에 맞춘 사전’으로 평가받아 ‘2008 한국 출판 문화상(한국일보)’, ‘2008 KBS 책 문화대상’, ‘2009 간행물 문화대상(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을 수상하고 ‘2008 한겨레 올해의 책’에 선정되었습니다. 그러나 누구보다 눈이 밝은 건 독자들이었습니다. 내가 보니, 우리 아이가 읽어 보니 참 좋더라는 입소문에 힘입어 꾸준히 1차, 2차 개정판을 낼 수 있었고 2024년까지 모두 50만 부 가까이 팔렸습니다.
그리고 2025년, 지난 17년의 역사를 고스란히 담아 알차면서도 더욱 새로운 모습으로 《보리 국어사전》 3차 개정판이 나왔습니다. 2020년에 2차 개정판이 나온 지 5년 만입니다.
■ 초등 저학년 아이들이 기초 문해력 및 한글 해독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쉽게 찾아보고 즐겁게 우리말을 익힐 수 있게 만들었습니다.
그동안 코로나19가 세계를 휩쓸고 지구 환경이 심각하게 훼손되는 등 우리 사회는 더욱 빠르고 다양한 변화에 맞닥뜨리게 되었습니다. 그만큼 우리가 쓰는 말도 더 빠르고 다양하게 바뀌고 있고요. 교육도 마찬가지입니다. 교육부가 고시한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2024년부터 초등학교 교과서 개정이 시작되었고, 2025년부터는 초등학교 수업에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한다고 합니다. 이런 교육의 디지털화에 맞서 저학년 국어 수업을 34시간 더 늘려서 기초 문해력 및 한글 해독 능력을 키우도록 하고 있습니다. 《보리 국어사전》은 이러한 교육의 디지털화 속에서 종이 사전만이 가질 수 있는 장점을 더욱 살려 아이들이 낱말 하나하나를 찾아보면서 우리말을 익히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만들었습니다. 3차 개정판에서는 생활 속에서 많이 쓰지 않는 낡고 어려운 말들은 걸러 내고, 새로 생겨난 말들을 보태어서 아이들 눈높이에 더욱 맞추었습니다. 낱말 뜻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게 같은 말에도 기본 올림말과 똑같이 풀이를 달아 주고, 아름답고 생생한 세밀화와 함께 도형, 도표, 설명 그림, 사진 등 정확한 정보를 담은 시각 자료를 4천 점이 넘게 곁들였습니다.
■ 2022 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해 4만 개가 넘는 올림말!
초등 국어사전 가운데 가장 많은 올림말을 수록하여 어휘력 향상을 돕습니다.
교육부가 고시한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2024년에 새로 나온 1, 2학년 교과서 낱말을 우선 검토해 반영했습니다. 올림말 개수가 4만 개 남짓으로, 2025년 3월 현재 나와 있는 초등 국어사전 가운데 가장 많습니다. 2025년과 2026년에 새로 나올 3, 4, 5, 6학년 교과서도 나오는 대로 검토해 새 낱말을 적극 반영할 예정입니다.
■ 아이 스스로 찾아보고 뜻을 이해할 수 있도록 입말을 살려 최대한 쉽게 풀이한 사전!
아무리 중요하고 좋은 뜻을 지닌 낱말이라도 뜻풀이가 어려우면 아이들은 제대로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보리 국어사전》은 초등학교 3학년 정도면 혼자서도 충분히 읽고 이해할 수 있게 한자어나 외래어를 되도록 피하고 우리 입말을 살려서 쉽게 풀어 썼습니다. 쉽고 고운 우리말 풀이를 통해 아이들은 우리말을 더욱 가깝게 여길 수 있고, 일상생활에서 우리말을 살려 쓰는 데에도 자신감을 가질 수 있습니다.
감격 (感激) 아주 기쁘거나 고마워서 뭉클한 느낌이 크게 솟구치는 것. 《헤어졌던 가족들이 서로 얼싸안고 감격의 눈물을 흘렸다.》 감격하다
날품 일거리가 생길 때마다 하루치 삯을 받고 하는 일. 또는 그런 일을 하는 사람.
만용 (蠻勇) 능력이나 형편을 잘 헤아리지 않고 마구 부려 대는 용기. 《만용을 부리다가는 물에 빠질 수 있다.》
문헌 (文獻) 옛날 책이나 기록. 또는 연구나 공부를 하려고 살피는 여러 문서나 책. 《고대 문헌 연구》
발효/썩음 (醱酵) 김치, 된장, 술 같은 것이 맛이 들게 익는 것. 《발효 식품》 발효하다 발효되다
수리/저수지 (水利) 물을 사람이 사는 데 이롭게 쓰는 일. 《수리 시설》
악상 (樂想) 곡을 쓸 때 작곡가의 머릿속에 떠오르는 가락이나 느낌. 《좋은 악상이 떠올라서 악보에 옮겨 두었다.》
우유부단하다 어떻게 할지 얼른 마음먹지 못하고 우물쭈물하는 태도가 있다. 《영숙이는 워낙 우유부단해서 무엇이든 쉽게 결정을 내리지 못한다.》
우화/이야기 (寓話) 사람의 나쁜 생각이나 행동을 꼬집어 바르게 깨우쳐 주는 짧은 이야기. 동물, 식물, 물건 들이 주인공이 되어 사람처럼 군다.
좌절 (挫折) 어떤 일에 실패하는 것. 또는 어떤 일에 실패하여 마음이나 기분이 몹시 상하는 것. 좌절하다 《시험 못 쳤다고 좌절하지 마.》 좌절되다
허무 (虛無) 아무것도 없이 텅 빈 것. 또는 아무 뜻이나 보람이 없어 허전하고 쓸쓸한 것. 허무하다
횡격막 (橫膈膜) 젖먹이 동물의 배와 가슴 사이에 있는 막. 늘어나거나 오그라들면서 숨 쉬는 것을 돕는다. 같가로막
■ 독자가 더 편리하도록, 독자 의견을 반영
이전 2차 개정판까지는 같은 뜻을 지닌 낱말이 여러 개 있으면 기본 올림말에만 풀이를 달아 주고 나머지 올림말에서는 기본 올림말을 찾아보도록 화살표로 안내했습니다. 그런데 그 과정이 번거롭다는 독자들 의견이 많아, 이번 개정판에서는 같은 말마다 각각 풀이를 달아 주어 곧바로 뜻을 알 수 있도록 했습니다. 올림말에 나라 이름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의견도 받들어 주요 나라 이름을 올림말로 간단히 풀이하고, 더 자세한 정보는 뒤쪽 ‘나라 정보’에서 찾아볼 수 있게 꾸몄습니다.
감주 (甘酒) → 식혜. --〉 감주 (甘酒) 쌀밥에 엿기름가루를 우린 물을 넣어 삭혀서 만든 음식. 같단술. 참식혜.
돌개바람 → 회오리바람. --〉 돌개바람 빠르게 빙빙 돌면서 세차게 올라가는 바람. 같회오리바람.
말벗 → 말동무. --〉 말벗 동무 삼아 함께 이야기를 나누는 사람. 같말동무.
비등점 (沸騰點) → 끓는점. --〉 비등점 (沸騰點) 액체가 끓기 시작하는 온도. 같끓는점.
서적 (書籍) → 책. --〉 서적 (書籍) 어떤 생각이나 감정, 지식 같은 것을 담은 글이나 그림을 인쇄하여 묶어 놓은 것. 같책.
계주봉 (繼走棒) 이어달리기를 할 때 먼저 달린 사람이 다음에 달릴 사람에게 넘겨주는 둥근 막대기. 같바통, 배턴.
단팥죽 팥을 푹 삶아 으깬 다음 설탕을 넣어 끓인 먹을거리.
동구바리 ‘소꿉놀이’의 충청북도 사투리.
맛집 음식 맛이 좋다고 소문난 가게.
싱숭하다 마음이 들떠서 어수선하다.
종이집게 종이 여러 장을 한데 끼울 수 있게 만든 작은 쇠. 같클립.
카멜레온 아프리카 같은 더운 지방에 사는 동물. 도마뱀과 닮았고 몸에 좁쌀 모양 돌기가 많다. 빛이나 온도에 따라 몸빛이 변한다.
■ 국립 국어원 정보와 법률, 정부 부처, 행정 구역 정보도 재빨리 반영
국립 국어원에서 분기마다 공시하는 정보 수정과 수시로 공시하는 띄어쓰기 변경, 표제어 추가 내용을 반영했습니다. 2021년에는 문화재보호법 시행령 개정에 따라 문화재 지정번호가 모두 삭제되었고, 2024년에는 국가기본유산법 시행에 따라 예전의 ‘문화재청’이 ‘국가유산청’으로 바뀌면서 ‘문화재’도 ‘문화유산’, ‘무형유산’, ‘자연유산’으로 갈래와 정보가 바뀌었습니다. 《보리 국어사전》은 우리 전통 문화를 많이 담은 책인 만큼 관련된 모든 낱말과 정보를 다시금 검토 수정했습니다. 2020년에 코로나19 시대를 맞아 ‘질병 관리 본부’가 ‘질병 관리청’으로 승격된 것이나 2023년 강원특별자치도, 2024년 전북특별자치도 출범 또한 바로 반영해 새 낱말로 올렸습니다.
*국립 국어원 정보 변경, 표제어 추가
길고양이 주인 없이 떠돌아다니며 사는 고양이.
동학 농민 혁명 (東學農民革命) 조선 고종 때(1894년) 전봉준을 비롯한 동학 교도와 농민들이 세상을 바꾸려고 일으킨 혁명 운동. 청나라와 일본이 끼어들어 실패하였다.
애플리케이션 (application) 스마트폰을 쓰는 사람이 편리하게 쓸 수 있도록 만든 여러 가지 응용 프로그램. 같앱.
유기견 (遺棄犬) 주인이 돌보지 않고 내다 버린 개.
코안 콧구멍에서 목젖 윗부분까지 이르는 빈 곳. 같콧속.
*법률, 정부 부처, 행정 구역 정보
국가유산 (國家遺産) 공공 기관에서 정하여 보살피는 오래된 물건, 건물, 기술 같은 것. 옛사람이 남긴 것 가운데 훌륭하고 귀한 것을 뽑아 정한다. 문화유산, 무형유산, 자연유산 들이 있다.
처용무 (處容舞) 궁중에서 섣달그믐이나 잔치 때 추던 귀신을 쫓는 춤. 처용탈을 쓰고 춘다. 유네스코에서 인류 무형 문화유산으로 지정하였다. 국가 무형유산이다.
질병 관리청 (疾病管理廳) 보건 복지부에 딸린 행정 기관. 감염병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고 여러 가지 질병을 관리, 예방하는 일을 맡아본다.
강원특별자치도 (江原特別自治道) 우리나라 동쪽 가운데에 있는 특별자치도. 동해와 닿아 있고 산이 많다. 설악산, 오대산 들이 있다. 같강원.
■ 4,000점이 넘는 풍부한 세밀화와 시각 자료! 자연 관찰 백과사전이자 전통문화 백과사전!
동식물을 비롯한 우리 겨레 전통문화와 살림살이 들을 세밀화로 그려 올림말과 함께 보여 주었습니다. 다양하고 아름다운 세밀화가 자꾸만 눈길을 끌어서, 필요한 낱말 뜻만 찾아보고 바로 덮지 않고 그림책처럼 즐기면서 자연스레 다양한 낱말을 배울 수 있습니다. 이번 개정판은 수학 용어에 대한 설명 그림을 더하고, 도형과 별자리 그림은 정확하고 깔끔하게 다시 그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