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회교의 성서 인간적 자연주의

본문 바로가기

회원메뉴

쇼핑몰 검색

통합검색

윤회교의 성서 인간적 자연주의

정가
23,000 원
판매가
20,700 원    10 %↓
적립금
1,150 P
배송비
무료배송
배송일정
48시간 배송 예정 배송일정안내
ISBN
9788964951002
쪽수 : 485쪽
한서진  |  북갤러리  |  2017년 01월 25일
소득공제 가능도서 (자세히보기)
주문수량
 
책 소개
『윤회교의 성서』는 생명의 다양성 회복을 위해 이 시대를 사는 우리가 무엇을 하여야 하는가를 묻는 책. 시대적인 이유나 문명사적인 원인들로 인해서 숲이 파괴되고 생명의 다양성이 급격하게 무너진 시대를 살고 있다는 사실을 돌아보며 인간들이 한 그루의 나무를 심어 강과 바다, 숲 그리고 들의 생명의 다양성을 회복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는 이 책은 더 나아가 나무를 심는 종교인 ‘윤회교’의 출현을 바라며 이 책을 세상에 내놓았다고 밝히고 있다.
저자 소개
저자 한서진은 모든 역사적 조건들, 성서와 노자와 불교를 접하면서 현시대를 살다간 인간으로서 다음세대를 위해 어떤 좋은 제언을 남길 것인가를 고민하였다. 하지만 노동자의 삶을 사는 현실에서 자기의 언어를 쓰는 것은 어려웠다. 어쩔 수 없이 성서나 노자 그리고 사회심리학 선배들의 언어를 차용해서 이 글을 쓸 수밖에 없었다. 이 책의 모든 언어는 차용된 언어이다. 상상과 현실 사이에서 그는 자연의 질서에서 벗어나지 않는 방법이란 한 그루 나무를 심는 것보다 더 현명하고 좋은 방법이 없다는 사실을 알았고, 이를 지구상의 모든 인간에게 알리고 싶었다. 그는 노동자의 삶을 살아왔다. 앞으로 죽음에 이를 때까지도 노동자의 삶으로 살아갈 것이다. 술에 찌들어서 하늘을 보고, 힘든 노동에 찌든 채 대지에 서있다. 그러면서도 노동을 언어로 기록하고 싶었다. 밤하늘에 잠드는 노동자의 삶이 치열하다는 것보다는 그에겐 그저 악에 받쳐서 살아갈 수밖에 없었음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동자의 삶은 또 한편 자유롭다는 사실에 그런대로 만족하면서 살아가고 있다. 인간적 자연주의는 ‘살생하지 말라’는 언어이며 행위를 하는 것이다. 또한 인간적 자연주의는 인간중심주의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인간적 자연주의는 살생하지 말라는 이념과 사상에 한 그루의 나무를 심는 행위를 더해져서 인간이 자연 질서의 규칙에 의해서 진화와 유전된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될 것이다.
목 차
목차 서문 - 인간적 자연주의 《윤회교의 성서》를 내면서 제1부 인간적 자연주의의 개론 인간은 어디까지 진화할 것인가 인간적 자연주의 발현의 조건들 비유란 무엇을 위한 것인가 노자의 해석에 대한 답 인간의 도덕적 신의 세계 한 그루의 나무를 심는 이유 악이란 무엇인가 신은 살아있다 삶 제2부 성서의 자연 자연(스스로 그러하다) 카인과 아벨 스스로 그러한 이치 카인의 증명 지천선악 지혜의 서 윤회의 서 윤회 계시록 십일조에 관한 윤회교의 교리 제3부 노자의 서 노자의 서
출판사 서평
출판사 서평 ‘이 시대를 사는 우리가 무엇을 하여야 하는가?’를 묻다 생명의 다양성 회복을 위해 이 시대를 사는 우리가 무엇을 하여야 하는가를 묻는 책. 인간적 자연주의 《윤회교의 성서》는 시대적인 이유나 문명사적인 원인들로 인해서 숲이 파괴되고 생명의 다양성이 급격하게 무너진 시대를 살고 있다는 사실을 돌아보며 인간들이 한 그루의 나무를 심어 강과 바다, 숲 그리고 들의 생명의 다양성을 회복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 그루의 나무를 심자’는 사상이 ‘윤회교’의 근본 취지 이 책은 더 나아가 나무를 심는 종교인 ‘윤회교’... ‘이 시대를 사는 우리가 무엇을 하여야 하는가?’를 묻다 생명의 다양성 회복을 위해 이 시대를 사는 우리가 무엇을 하여야 하는가를 묻는 책. 인간적 자연주의 《윤회교의 성서》는 시대적인 이유나 문명사적인 원인들로 인해서 숲이 파괴되고 생명의 다양성이 급격하게 무너진 시대를 살고 있다는 사실을 돌아보며 인간들이 한 그루의 나무를 심어 강과 바다, 숲 그리고 들의 생명의 다양성을 회복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 그루의 나무를 심자’는 사상이 ‘윤회교’의 근본 취지 이 책은 더 나아가 나무를 심는 종교인 ‘윤회교’의 출현을 바라며 이를 실천하기 위한 방편으로 이 책을 세상에 내놓았다고 밝히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윤회’는 다음 세대를 위해서 한 그루의 나무를 심자는 사상을 ‘윤회’의 개념으로 하여 ‘윤회교’라 하는 것이지 다시 태어나기 위한 윤회가 아니다. 특히 나무를 심는 종교 집단의 출현을 장려하고 독려한다는 의미에서 《윤회교의 성서》라는 책이름으로 하였다. 성서의 창세기 1장 ‘천지를 창조하시고 보기에 좋았더라’를 인간들은 행위하고 있는가를 묻고 있는 이 책은 예수 그리스도 또한 창세기 1장의 ‘천지를 창조하시고 보기에 좋았더라’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책임을 추궁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인류의 역사가 엉뚱한 방향으로 흘러왔음을 지적하고 있다. 이에 대한 해결방법으로는 한 그루의 나무를 심고 자기 수입의 십분의 일을 생명의 다양성 회복을 위해 사용해야 함이 인간의 의무라고 끊임없이 잇따라 내세우고 있다. 인간의 ‘이성(理性)’보다는 ‘본능(本能)’에게 던지는 메시지 ‘제1부 인간적 자연주의의 개론’과 ‘제2부 성서의 자연’, ‘제3부 노자의 서’ 등 모두 3부로 구성된 이 책의 구성 내용은 전적으로 인간의 이성(理性)에게 던지는 지식이 아니라 인간의 본능(本能)에게 던지는 메시지이다. 본문을 보면 소크라테스가 대중들에게 ‘너 자신을 알라’라는 말을 던지거나 ‘너 자신을 알라’라는 말을 자연의 질서가 인간들에게 던졌다면 인간은 어떻게 행위를 할 것인가? 소크라테스에 대해서는 인간의 이성이나 지적인 욕구 충족과 함께 인간의 철학적 그리고 정치적인 깨달음을 위한 방편이었을 것이고, 자연의 질서가 인간을 향해서 ‘너 자신을 알라’라고 했다면 자연의 질서는 분명히 살생하지 말고 한 그루의 나무를 심으라고 했을 것이다. 그리고 그 본질에는 천지를 창조하시고 ‘보기에 좋았더라’라는 언어와 상관관계를 맺고 있다는 사실을 인간적 자연주의는 추구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노자의 사상’을 윤회교의 사상적 바탕 위에 올려놓았다 이 책의 중심 사상은 노자의 사상을 따르려고 했지만 본질적으로 성서의 언어 체계를 따랐다. 왜냐하면 저자는 전 인류의 사상이 현재로서는 기독교 사상을 극복하거나 넘을 수 없었기 때문이라고 봤다. 저자는 사상적으로 노자의 사상이 성서의 사상보다도 위대하다고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제3부 노자의 서’편을 보면 노자의 글에 하늘이 답한다는 방법으로 저자의 생각을 기록하였다. 이는 자의든 타의든 노자의 사상을 윤회교의 사상적 바탕 위에 올려놓았다는 사실이다. 아니 그보다 앞서서 노자의 사상보다도 저자의 사상적 본질 속에는 ‘인간적 자연주의’ 사상으로 명명한 상상으로 인해 집필이 가능했다고도 할 수 있다. 현대사회의 정신세계를 지배해온 ‘성서’도 바뀌어야 한다 또한 저자는 성서는 유대인에 의해 다시 써져야 한다고 본다. 현대사회의 정신세계를 지배하고 있고 서양 역사를 움여온 성서가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구현해내지 못한 것은 성서의 ‘창조’라는 언어가 멸망으로 향하는 과정에 불과하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성서가 부족하다는 것은 ‘창조’가 자연의 질서로 환원되어야 하기 때문인데, 자연의 질서로 환원되었다는 사실은 자연의 질서가 생명의 질서이기 때문이며, 생명의 질서가 자연으로 완성되는 절차가 생략되었기 때문이라 판단한 결과이다. ‘자연’이란 ‘스스로 그러하다’는 의미만으로 멈추는 것이 아니라, 자연은 ‘나’라는 생명 그 자체이다. 자연은 나와 공존해 나가야 하는 필연적인 행위를 하여야 하는 자연의 질서로서 나와 생명으로서, 또 나와 창조로부터 이어져 자연의 질서를 받아들여야 한다는 점이다. 자연의 질서는 살생하지 않음으로 모든 생명은 세대에서 세대로 이어져가야 하는 본질을 담아야 한다는 점을 말하는 것이다. 또한 생명의 질서가 세대에서 세대로 이어져 본질적으로 이 세계를 창조하시고 ‘보기에 좋았더라’가 구현되는 방향으로 역사 혹은 사회, 문화가 흘러가야 한다는 사실을 말하기 위해서이다. ‘인간적 자연주의’는 ‘인간중심주의’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 인간적 자연주의는 ‘살생하지 말라’를 의식적으로 행동하는 것이고, 또한 인간중심주의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인간이 자연 질서의 규칙에 의해 진화와 유전된다는 사실을 최근 출간된 《윤회교의 성서》가 증명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될 것인지 주목된다.
고객 리뷰
평점 리뷰제목 작성자 작성일 내용보기

아직 작성된 리뷰가 없습니다.

반품/교환
· 회사명 : 북앤북스문고   ·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1100로 3308 B1  
· 대표자 : 김대철   · 사업자 등록번호 : 661-10-02383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2023-제주노형-0169   ·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최재혁  

고객센터

(평일 09:30~17:30)
(점심 12:00~13:00)
· 전화 : 064)725-7279 (발신자 부담)
    064)757-7279 (발신자 부담)
· 팩스 : 064)759-7279
· E-Mail : bookpani@naver.com
Copyright © 2019 북앤북스문고.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