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돌담

본문 바로가기

회원메뉴

쇼핑몰 검색

통합검색

제주 돌담

정가
9,800 원
판매가
8,820 원    10 %↓
적립금
490 P
배송비
3,000 원 ( 20,000 원 이상 무료배송 )
배송일정
48시간 배송 예정 배송일정안내
ISBN
9788936902810
쪽수 : 158쪽
김유정  |  대원사  |  2015년 05월 20일
소득공제 가능도서 (자세히보기)
주문수량
 
책 소개
화산 섬 제주만의 독특한 자연환경에서 살아가는 한 방법으로 터득했던 ‘돌담’의 역사와 쓰임, 쌓는 방법 등을 사진과 함께 실어 독자들의 흥미와 이해를 돕는다. 저자는 돌담을 이용한 농업, 지역마다 다른 자연 환경이 접목된 돌담의 다양한 형태, 돌담 쌓는 조직 계(契)를 통해 알 수 있는 제주민들의 생활상과 정신, 사자를 위한 돌담 ‘산담’에 나타나는 우리 조상들의 정신과 가치, 그리고 자연과 어우러진 산담의 조형미까지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세계문화유산으로서의 등재 가치와 필요성, 돌담 보존의 이유를 짚어보고 있다.
저자 소개
저자 김유정은 제주대학교 미술교육학과와 부산대 대학원에서 예술학 석사를 마치고 미술평론가로 활동하고 있다. 서귀포시 이중섭미술관과 제주도립미술관 운영위원, 제주문화연구소장, 한국민족미학회 회원으로 있으며, 제주교육대학교에 출강,《제민일보》에 ‘김유정의 미학기행’을 연재 중이다. 저서로는『제주의 무신도』,『아름다운 제주석상 동자석』,『제주의 무덤』,『제주 풍토와 무덤』,『제주미술통사』,『제주의 돌 문화』등이 있다.
목 차
목차 삶의 역사가 된 제주 돌담 생활 속의 돌담 돌담의 역사 돌담의 기원과 역사 돌담의 기능 농업과 밭담 밭담의 기능 밭담의 시원, 판관 김구 돌담의 암질과 종류 돌담의 암질 돌담의 종류 돌담을 쌓는 방법 제주의 돌챙이, ‘석장(石匠)’ 돌담의 길이 돌담의 지역적 차이 자연 경관과 문화 경관 돌담의 지리적 의미와 문화·생산적 의미 지역마다 다른 돌담 우도의 돌담 돌담을 쌓는 조직 계(契)와 접〔契〕 사자(死者)를 위한 돌담 기념비적인 돌 문화, ‘산담’ 시 · 공간을 넘어선 대지 예술(Earth Art)로서의 산담 산 담의 역사적인 조성 배경 산담의 공간 개념 산담의 유형 전방후원형(前方後圓形) 산담 부등변 사각형(不等邊四角形) 산담 토석 산담과 시멘트 혼용 산담 산담 쌓는 방법 산담 쌓는 비용 산담의 구조 올 레 정 돌 귓 돌 문화 경관으로서 산담의 미학(美學) 산담의 자연미 산담의 조형미 돌담의 현대적 의미 참고문헌
출판사 서평
출판사 서평 세계중요농업유산 제주 밭담, 이제 제주 돌담을 세계문화유산으로 제주 돌담은 크게 생활 속의 돌담과 사자(死者)를 위한 돌담으로 나눌 수 있다. 생존을 위한 생활 속의 돌담은 초가의 집담(축담), 집 안으로 들어가는 올레담, 농사를 위한 밭담, 마을 공동 목장의 잣성과 캣담, 해안가 공동 어장인 원담, 해녀의 탈의장인 불턱, 옛 군사 방어용이었던 진성(鎭城)과 환해장성, 신의 집인 본향당(本鄕堂) 등이 있다. 사자를 위한 돌담으로는 들녘이나 밭머리에 쌓은 산담이 있다. 산담은 비록 영혼의 집이지만 살아 있는 사람의 집처럼... 세계중요농업유산 제주 밭담, 이제 제주 돌담을 세계문화유산으로 제주 돌담은 크게 생활 속의 돌담과 사자(死者)를 위한 돌담으로 나눌 수 있다. 생존을 위한 생활 속의 돌담은 초가의 집담(축담), 집 안으로 들어가는 올레담, 농사를 위한 밭담, 마을 공동 목장의 잣성과 캣담, 해안가 공동 어장인 원담, 해녀의 탈의장인 불턱, 옛 군사 방어용이었던 진성(鎭城)과 환해장성, 신의 집인 본향당(本鄕堂) 등이 있다. 사자를 위한 돌담으로는 들녘이나 밭머리에 쌓은 산담이 있다. 산담은 비록 영혼의 집이지만 살아 있는 사람의 집처럼 사각의 울타리를 두르고 망주석과 석상을 세워 영혼의 집임을 표시했다. 2013년, 제주 밭담이 세계중요농업유산으로 인정됨으로써 제주 돌담의 가치는 더욱 주목받고 있다. 이 책에서는 화산 섬 제주만의 독특한 자연환경에서 살아가는 한 방법으로 터득했던 ‘돌담’의 역사와 쓰임, 쌓는 방법 등을 사진과 함께 실어 독자들의 흥미와 이해를 돕는다. 저자는 돌담을 이용한 농업, 지역마다 다른 자연 환경이 접목된 돌담의 다양한 형태, 돌담 쌓는 조직 계(契)를 통해 알 수 있는 제주민들의 생활상과 정신, 사자를 위한 돌담 ‘산담’에 나타나는 우리 조상들의 정신과 가치, 그리고 자연과 어우러진 산담의 조형미까지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세계문화유산으로서의 등재 가치와 필요성, 돌담 보존의 이유를 짚어보고 있다. 이 책은 우리나라 전통 문화 전반을 아우르는 빛깔있는 책들 시리즈 280번이다.
고객 리뷰
평점 리뷰제목 작성자 작성일 내용보기

아직 작성된 리뷰가 없습니다.

반품/교환
· 회사명 : 북앤북스문고   ·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1100로 3308 B1  
· 대표자 : 김대철   · 사업자 등록번호 : 661-10-02383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2023-제주노형-0169   ·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최재혁  

고객센터

(평일 09:30~17:30)
(점심 12:00~13:00)
· 전화 : 064)725-7279 (발신자 부담)
    064)757-7279 (발신자 부담)
· 팩스 : 064)759-7279
· E-Mail : bookpani@naver.com
Copyright © 2019 북앤북스문고.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