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사회를 잡아라 1

본문 바로가기

회원메뉴

쇼핑몰 검색

통합검색

통합 사회를 잡아라 1

정가
16,800 원
판매가
15,120 원    10 %↓
적립금
840 P
배송비
3,000 원 ( 20,000 원 이상 무료배송 )
배송일정
48시간 배송 예정 배송일정안내
ISBN
9791160943412
쪽수 : 280쪽
 |  사계절  |  2018년 03월 24일
소득공제 가능도서 (자세히보기)
주문수량
 
책 소개
서로 단절된 교과 영역의 지식을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각 교과의 벽을 넘어 질문(주제)을 던지고 그것을 통해 일상의 삶과 사회, 세상을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그것은 통합사회라는 교과 과정이 목표로 하는 바와도 같을 것이다. 그래서 이 책은 '통합 사회' 그리고 중학교 '사회'(역사 포함)/도덕 교과(군) 및 고등학교 사회과 선택 과목까지 넘나들 수 있는 주제들로 구성되었다. 선생님조차 쉽지 않은 과목이지만 이 책은 혼자서도 공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를 위해 각 단원의 큰 주제들을 세밀하게 나누어 기초가 되는 내용부터 사고를 확장하는 데 징검돌이 될 만한 내용까지 충실히 담았다.
저자 소개
저자 _ 강봉균 지리를 전공하기 이전부터 여행을 좋아하는 아빠와 함께 우리나라 곳곳을 찾아다녔다. EBS에서 한국 지리 강의를 10년째 하고 있고, 『중학교 사회』, 『고등학교 한국 지리』, 『통합 사회』 등 9권의 교과서를 집필했다. 저자 _ 강은경 가슴으로 공감하고 손발로 실천하게끔 돕는 길을 늘 고민하는 사회 교사이다. 지금은 서울 선사고등학교에서 새로운 교육과 학교의 모습을 고민하고 실천해 나가고 있으며, 『고등학교 사회 문화』, 『통합 사회』 교과서를 집필했다. 저자 _ 강혜원 삶의 바람직한 방향을 아이들 스스로 설정하고 실천하도록 도와주는 것을 큰 보람으로 삼는 윤리 교사이다. 서울 중동고등학교에 재직하고 있으며, 『중학교 도덕』, 『고등학교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교과서, 『EBS 수능완성 생활과 윤리』, 『EBS 통합사회 개념완성』을 집필했다. 저자 _ 김승우 대학에서 윤리교육과 영어교육을, 대학원에서 종교교육을 공부했다. 이스라엘의 키부츠에서 유대 교육의 창의성을 경험한 뒤 창의적인 윤리 교육을 하려고 애쓰고 있다. 인천 하늘고등학교에서 통합 사회, 생활과 윤리를 가르치고 있다. 저자 _ 송훈섭 지리를 공부하면 세상의 변화뿐만 아니라 삶의 이치까지도 깨닫게 된다고 믿고 또 그렇게 가르치고 있는 지리 교사이다. 대학과 대학원에서 지리교육을 전공하였으며 『중학교 사회』, 『고등학교 세계 지리』, 『통합 사회』 교과서 등을 집필하였다. 저자 _ 이효건 학생들에게 사회 현상의 의미를 올바르게 전달하고 싶어 사회 교사가 되었다. 『청소년 정치의 주인이 되어 볼까?』, 『생각 대 생각』(공저)을 썼고 『중학교 사회』 교사용 지도서 집필에 참여했다. 저자 _ 정명섭 학생들에게 쉽고 재미있는 지리 수업을 위해 다양한 수업 방법을 고민하는 16년차 지리 교사이다. 대학원에서 지리교육 박사과정을 밟고 있으며, 『한국지리 만화 교과서』, 『중학교 사회』, 『고등학교 세계 지리』, 『통합 사회』 교과서, 『EBS 수능완성 세계 지리』 등을 집필하였다. 저자 _ 조승연 윤리 교사로서 학생들과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을 함께 공부하는 즐거움을 누리고 있다. 대학과 대학원에서 윤리교육과 정치철학을 전공했으며 『통합 사회』 교과서, 『EBS 고등예비과정 통합 사회』, 『EBS 수능특강 생활과 윤리』, 『EBS 수능완성 윤리와 사상』을 집필했다. 저자 _ 조지욱 부천의 고등학교에서 한국 지리와 세계 지리를 가르치고 있다. 지리를 확장하여 창조적 사고로 이끄는 여러 권의 책을 펴냈다. 대표 저서로 『동에 번쩍 서에 번쩍 세계 지리 이야기』, 『문학 속의 지리 이야기』 등이 있으며, 『중학교 사회』, 『고등학교 세계 지리』 교과서, 『EBS 수능특강 세계 지리』 등을 집필했다.
목 차
I. 행복한 삶은 좋은 사회에서 14 - 인간, 사회, 환경과 행복 1. 관점이란 무엇일까? 16 2. 인간, 사회, 환경을 바라볼 때 어떤 관점을 지녀야 할까? 17 3 사회 현상을 바라보는 관점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① - 시간적 관점과 공간적 관점 19 4. 사회 현상을 바라보는 관점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② - 사회적 관점과 윤리적 관점 22 5. 통합적 관점이란 무엇일까? - 인간의 삶과 사회 제대로 이해하기 25 6. 행복이란 무엇일까? 28 7. 행복의 기준은 어떻게 변해 왔을까? - 시대에 따른 행복의 기준 31 8. 지역에 따라 행복의 기준은 어떻게 다를까? 34 9. 우리는 무엇을 위해 살아갈까? - 성찰하는 삶 38 10. 행복한 삶이란 어떤 삶일까? 40 11. 행복하게 살아가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 정주 환경과 행복한 삶 42 12. 왜 생태 도시를 만들려고 할까? - 생태 환경과 행복한 삶 44 13. 행복한 집은 어디에 있을까? - 주거 공간과 행복 47 14. 소득과 행복은 항상 비례할까? 49 15. 돈은 행복을 위한 충분조건일까? 52 16. 진정한 행복이란 무엇일까? 54 17. 민주주의의 발전이 나의 행복과 관계가 있을까? 57 18. 선한 삶과 행복한 삶은 어떤 상관관계가 있을까? - 도덕과 행복 60 II. 자연 속에서 가꾸는 삶과 사회 62 - 자연환경과 인간 19. 기후란 무엇인가? 19 20. 기후는 인간 생활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을까? 20 21. 지형이란 무엇인가? 70 22. 세계 최대의 지형에는 무엇이 있을까? 72 23. 지형은 인간 생활에 어떤 영향을 끼쳤을까? 74 24. 인간은 자연환경을 어떻게 극복해 왔을까? 77 25. 인간의 삶을 위협하는 자연재해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80 26.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살아갈 시민의 권리, 어떻게 찾을까? 83 27. 인간 중심주의 자연관이란 무엇인가? 87 28. 생태 중심주의 자연관이란 무엇인가? 90 29. 자연관은 어떻게 변화해 왔을까? 93 30. 인간과 자연의 바람직한 관계는 어떤 것일까? 96 31.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는 어떤 노력을 할까? 99 32.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해 기업은 어떤 노력을 할까? 102 33.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해 시민 사회는 어떤 노력을 할까? 104 34.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해 개인들은 무엇을 실천할까? 108 III. 산업, 교통·통신, 정보화가 바꿔 놓은 세상과 미래 110 - 생활공간과 사회 35. 산업 혁명은 어떻게 진행되었을까? 112 36. 도시화는 어떻게 전개되었을까? 115 37. 산업화, 도시화로 생활 공간은 어떻게 변화했을까? 119 38. 산업화, 도시화로 생활 양식은 어떻게 변했을까? 123 39. 산업화, 도시화로 인한 인간 소외 현상은 어떻게 해결할까? 127 40. 산업화, 도시화로 인한 생태 환경의 악화는 어떻게 해결할까? 130 41. 교통수단은 어떻게 발달했을까? - 교통 발달의 역사 133 42. 교통의 발달에 따라 생활 공간에는 어떤 변화가 나타날까? 137 43. 교통의 발달에 따라 생활 양식은 어떻게 달라졌을까? 140 44. 교통 발달에 따른 문제를 해결할 방법은 무엇일까? 143 45. 통신 수단과 정보 기술의 발달에 따라 사회는 어떻게 바뀌었을까? 147 46. 정보화에 따라 생활공간에는 어떤 변화가 일어날까? 151 47. 정보화에 따라 생활양식은 어떻게 변화할까? 154 48. 정보화로 일어나는 사회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까? 157 49. 정보화에 따른 학교 안의 문제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160 50. 지역은 어떻게 변해 갈까? ① - 당진군에서 당진시로 163 51. 지역은 어떻게 변해 갈까? ② - 나주시와 함평군의 변화 167 IV. 기나긴 인권의 역사, 법으로 새긴 인간다울 권리 170 - 인권 보장과 헌법 52. 인권이란 무엇일까? 172 53. 시민 혁명은 인권 보장에 어떻게 기여했나? 174 54. 역사 속에서 인권은 어떻게 확립되어 왔을까? 177 55. 현대 사회에서 인은 어떻게 확장되고 있을까? 180 56. 현대 사회에서 새롭게 요구되는 인권은 무엇일까? 184 57. 인권과 헌법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 188 58. 인권 보장을 위한 헌법적 장치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190 59. 헌법은 어떤 과정을 거쳐 우리 생활에 반영되나? 193 60. 헌법 재판소는 왜 있을까? 196 61. 인권 보장과 준법 의식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 199 62. 시민 참여 없이 인권이 보장될 수 있을까? 202 63. 촛불 집회는 왜 생겨났을까? - 시민의 정치 참여 205 64. 국내 인권 문제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207 65. 세계 인권 문제는 무엇일까? 210 66. 우리나라의 인권 문제를 해결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213 67. 인권 문제 해결을 위해 국제 사회는 어떤 노력을 할까? 215 V. 보이지 않는 경제를 내 손에 218 - 시장 경제와 금융 68. 시장에서 기회가 생기다 - 자본주의의 탄생 220 69. 계획 경제의 거울에 자본주의를 비춰 보면? - 자본주의의 특징 223 70. 자본주의의 변신은 어디까지일까? - 자본주의의 역사 226 71. 땅에 떨어진 돈을 주워야 할까? - 합리적 선택 232 72. 아무도 손해 보지 않으려 한다면 어떻게 될까? - 합리적 선택의 한계 235 73. 보이는 시장, 보이지 않는 시장, 어떻게 이용할까? 237 74. 시장이 없으면 초콜릿도 없다 - 시장의 기능 238 75. 시장의 한계는 무엇일까? ① - 시장 실패 242 76. 시장의 한계는 무엇일가? ② - 빈부 격차 245 77. 가계와 기업은 시장에서 어떤 역할을 할까? 247 78. 정부는 시장에서 어떤 역할을 할까? 251 79. 무역은 왜 필요할까? 254 80. 국가별 상품 생산비에 무엇이 어떤 영향을 줄까? - 자원·노동·자본의 지역적 분포 차이 257 81. 오늘날 국제 무역 규모는 어떻게 변하고 있을까? 259 82. 무역의 확대는 우리 삶에 어떤 긍정적 영향을 끼칠까? 262 83. 무역의 확대는 우리 삶에 어떤 부정적 영향을 끼칠까? 265 84. 자산이란 무엇이며 자산 관리는 왜 중요할까? 268 85. 자산 관리의 원칙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272 86.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개인의 삶은 어떻게 변해 갈까? 275 87. 생애 주기에 따라 금융 설계를 어떻게 할까? 277
출판사 서평
1. 기획의도 2015년 교육과정 개정으로 올해부터 고등학교에서는 <통합사회>가, 중학교에서는 탐구 활동형으로 꾸려진 <사회> 교과서가 적용되고 있다. 중고교 사회 교과가 학생 참여를 지향한다는 점은 공통된 방향이다. 고교 <통합 사회> 교과서는 계통적인 지식을 전달하는 관행을 넘어서서 삶과 사회 현상을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초 소양과 문제 해결 역량을 함양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곧 ‘시간적, 공간적, 사회적, 윤리적 관점에 대한 기초 지식을 바탕으로 자신, 사회, 세계의 다양한 현상을 통합적으로 탐구하는 능력’, ‘일상생활과 사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에 대해 합리적인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 공동체 구성원으로서 삶을 통합적으로 성찰하고 설계하는 능력’(『2015 사회과 교육과정』) 등을 기르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2018년부터 사용되는 새 교과서는 기존의 교과인 일반 사회, 지리, 윤리 과목의 교육 내용이 통합되어 제시되고 있다. 새 교과서의 방향이 교육적으로 옳다는 것은 공통된 목소리이지만 교육 방법이 급작스럽게 바뀌는 것에 대해서 우려가 많았고, 통합적 형태의 주제를 소화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는 교육 현장의 목소리들이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 역시 기초 개념이 부족한 상태에서 탐구와 토론 등의 활동, 그리고 평가가 부담스러운 상황이다. 고교 <통합 사회>는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방대한 세 교과 범위의 지식이 필요하다. 교사들의 경우 지리 교사는 일반사회와 윤리가, 일반사회 교사는 지리, 윤리 지식이 필요해졌다. 기존처럼 각 분야 교사들이 단원을 쪼개서 가르치는 것도 통합주제이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 학생들의 경우도 각 단원 교육 목표에 해당하는 일반사회, 지리, 윤리 지식과 개념이 무엇인지 쉽게 알 수가 없다. 이에 『통합 사회를 잡아라1,2』는 <통합 사회> 교과에서 필요로 하는 핵심 개념과 주제를 선정하고 풀어썼다. 교과 기초 역량과 통합적 사고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2. 책의 내용 <통합 사회> 새 교육과정의 필수적인 탐구 주제들로 구성했다 이 책은 교육과정에서 한정하고 있는 내용 범위를 기준으로 하여 탐구 주제들을 사례 중심으로 흥미롭게 서술했다. 이것은 학생들의 학습 참여와 탐구활동을 위한 쟁점과 핵심을 개괄적으로 보여준다. 또한 개개 글의 주제는 곧 학생들이 생각해 볼 만한 질문의 목록이다. 그 질문들에 대해 스스로 조사, 탐구, 토론을 하는 과정에서 사고 확장의 중요한 밑거름이 될 만한 것들로 구성하였다. 각 장은 <통합 사회>의 9가지 핵심 개념 곧, 행복, 자연환경, 생활공간, 인권, 경제, 정의, 문화, 세계화, 지속가능한 삶을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개념을 세부주제로 나누어 다층적으로 다루었다. 1권 1장에서는 사회현상을 바라보는 바람직한 관점과 함께 그것이 인간의 행복이라는 삶의 목표와 긴밀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살펴본다. 2장에서는 인간의 삶과 문화가 형성되는 기본조건으로서 자연환경에 대한 이해를 담으며 환경문제가 비롯된 원인들을 성찰하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살펴본다. 3장에서는 생활공간의 변화가 이루어진 과정을 살피며 산업화, 도시화, 교통과 통신의 발달에서 비롯되는 지역 공간의 변화 양상을 탐구한다. 4장에서는 인권의 문제와 헌법의 관계를 기본으로, 정치와 정치 참여의 문제와 함께 세계의 인권 문제에 대해 살펴본다. 5장에서는 시장 경제의 의미와 한계, 가계, 기업, 정부의 역할을 총체적으로 살피며, 개인의 생애 설계를 위한 바람직한 방향을 조명한다. 2권 6장에서는 정의의 여러 측면을 살펴보며, 현대 사회에서 더욱 중요성이 더해지는 분배적 정의에 대한 여러 관점들, 그리고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정의관을 통해 정의 실현에 대해 성찰한다. 7장에서는 세계의 다양한 문화를 살펴보고 문화 상대주의의 의미와 한계, 보편 윤리에 대해 살펴보며 다문화 사회로 향해가는 우리 사회에서의 삶의 모습을 되돌아본다. 8장에서는 세계화의 뜻과 세계화 시대의 문제점, 국제사회의 갈등과 협력을 살피고 분단된 우리나라의 현실과 국제사회에서의 위에 대해 성찰하며 나아갈 바를 모색해 본다. 9장에서는 인구문제가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 자원의 불균형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을 살피고,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우리의 준비를 살펴본다. 교과서 집필 교사들이 새 교육과정에 맞추어 최근의 사회 현상까지 사례로 들어 풀어냈다 『통합 사회를 잡아라1,2』는 지학사, 비상교육 등에서 고등학교 <통합 사회> 교과서를 집필한 교사들이 참여했다. <통합 사회> 교과서 집필은 윤리, 일반사회, 지리 교사들이 머리를 맞대어 수많은 협의를 거치는 새로운 작업이었기 때문에 서로 다른 교과에 대한 이해 과정에서 관점이 다른 부분들이 드러나 어려움이 많았다고 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다른 교과에 대한 이해 속에서 시야가 더욱 확장되는 경험을 얻었다고 한다. 저자들은 2년여에 걸친 교과서 집필 기간에서 얻은 고민과 역량을 이 책의 집필에 집중하였다. 그래서 교과에서 필요로 하는 핵심 개념과 주제를 선정하고 최근의 사회 현상까지 사례로 들어 명쾌하게 풀어낼 수 있었다. 물론 이 책을 집필하는 과정에서도 수많은 회의와 논의를 거친 끝에 결과물을 도출할 수 있었다. 2018년에 새로 시작되는 <통합 사회>는 시행 초기인 만큼 학습 과정과 평가 과정에서 다양한 과도기적 현상을 겪으리라 예상된다. 그 과정에서 『통합 사회를 잡아라1,2』가 교사들과 학생들이 균형을 잡으며 학습해 나가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고객 리뷰
평점 리뷰제목 작성자 작성일 내용보기

아직 작성된 리뷰가 없습니다.

반품/교환
· 회사명 : 북앤북스문고   ·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1100로 3308 B1  
· 대표자 : 김대철   · 사업자 등록번호 : 661-10-02383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2023-제주노형-0169   ·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최재혁  

고객센터

(평일 09:30~17:30)
(점심 12:00~13:00)
· 전화 : 064)725-7279 (발신자 부담)
    064)757-7279 (발신자 부담)
· 팩스 : 064)759-7279
· E-Mail : bookpani@naver.com
Copyright © 2019 북앤북스문고.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