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원경제지 예규지 2

본문 바로가기

회원메뉴

쇼핑몰 검색

통합검색

임원경제지 예규지 2

정가
33,000 원
판매가
29,700 원    10 %↓
적립금
1,650 P
배송비
무료배송
배송일정
48시간 배송 예정 배송일정안내
ISBN
9791189801045
쪽수 : 396쪽
서유구  |  풍석문화재단  |  2019년 05월 20일
소득공제 가능도서 (자세히보기)
주문수량
 
책 소개
일생을 바쳐 남긴 풍석 서유구의 저술, 《임원경제지》 《임원경제지》는 조선 후기 실학자 풍석 서유구 선생이 우리의 전통문화와 생활지식을 16분야로 나누어 집대성한 백과사전이다. 서유구는 관념에 치우친 유학자들의 학문적 태도에서 벗어나 사람살이의 기본인 ‘건실하게 먹고 입고 사는 문제’를 풀고자 민중의 생활상을 세밀하게 관찰하고 조선 · 중국 · 일본의 서적들을 풍부하게 참조하여 이 거작을 저술하였다. 《임원경제지》는 총 16개의 분야로 이루어져 있는데, 곡식 농사에 관한 기록인 《본리지(本利志)》, 식용 식물과 약용 식물에 관한 기록인 《관휴지(灌休志)》, 화훼농사에 관한 기록인 《예원지(藝苑志)》, 과실과 나무에 관련된 기록인 《만학지(晩學志)》, 옷감 재료의 생산과 그 만드는 법에 관한 기록인 《전공지(展功志)》, 여러 가지 자연현상을 보고 기상을 예측하는 방법을 기록한 《위선지(魏鮮志)》, 목축 · 사냥 · 어로에 관련된 기록인 《전어지(佃漁志)》, 솥과 도마로 대표되는 음식의 조리법과 재료의 효능에 관한 기록인 《정조지(鼎俎志)》, 쓰는 물건을 넉넉하게 한다는 뜻으로 건축과 일용품에 관한 기록인 《섬용지(贍用志)》, 몸을 양생하는 일과 관련된 기록인 《보양지(保養志)》, 어진 마음으로 사람을 구제하는 일에 관한 기록이라는 뜻으로 의학에 관한 내용을 적은 《인제지(仁濟志)》, 향촌의 의례에 관한 기록인 《향례지(鄕禮志)》, 교양 지식에 관한 기록인 《유예지(遊藝志)》, 문화생활에 관한 기록인 《이운지(怡雲志)》, 좋은 집터를 살피는 일에 관한 기록인 《상택지(相宅志)》, 경제와 상업 활동에 관한 《예규지(倪圭志)》가 그것이다. 《예규지》는 총 5권으로, 《예규지》 권1은 〈지출의 조절〉을 큰 제목으로 하여 “수입을 고려하여 지출한다”, “절약”, “경계할 일”, “미리 준비하기”로 구성하여 경제생활의 핵심으로 “절약”과 “검소”를 강조하였고 권2는 〈재산증식〉 (상) 을 큰 제목으로 “무역”, “재산 불리기”, “재산 매입과 관리”, “부지런히 일하기”, “일 맡기기”로 주로 장사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1과 권2는 주로 중국 서적을 인용하여 편찬한 것으로 경제 및 장사에 대한 “이론편”이라고 할 수 있다. 권3에서는 우리나라 전국 8도의 생산물과 특산물을 적었고, 권4에서는 전국의 주요 시장을 다루었으며, 권5에서는 주요 생산지와 시장들 사이의 거리표를 담고 있다.
저자 소개
저자 : 서유구 자는 준평(準平), 호는 풍석(楓石)이며 본관은 대구이다. 대제학 보만재 서명응의 손자이며, 이조판서 서호수의 아들이다. 영조14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규장각 초계문신으로 발탁된 후 좌부승지, 성균관 대사성, 홍문관 부제학을 거쳐 사헌부대사헌, 예문관대제학, 형조판서, 호조판서, 병조판서에 제수되었다가 늦은 나이에 전라도관찰사, 수원부 유수를 역임하였다. 대표적인 경화세족 가문에서 태어나 다양한 학문을 깊이 있게 연구했으며,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가학을 이어 특히 농학(農學)에 큰 업적을 남겼다. 가문의 개방적인 학문 기풍과 방대한 장서의 열람, 뛰어 난 학자들과의 교류를 통해 다방면에 식견과 경험을 쌓았다. 젊은 시절 정조의 치세 때에는 규장각에서 많은 편찬 사업에 참여했고, 방폐기간 동안의 여러 경험을 기반으로 한 시대를 대표하는 학자로 성장했다. 서유구가 지은 16개의 주제를 지(志)로 하여, 113권으로 구성된《임원경제지》는 농업, 목축, 어업, 양잠, 상업 등의 생산 전반과 의학, 음식, 주거, 선비가 알아야 할 일상 실용지식 등의 생활 전반을 담은 방대한 양의 생활 백과전서이다. 그 밖의 저술로는 정조의 명으로 조선에서 출판한 도서의 목판을 조사한《누판고》와, 전라도관찰사로 재직할 때는 기민을 구제하기 위해 고구마 재배법을 기록한 《종저보》를 간행하였다. 이 밖에도 개인 문집으로 《풍석고협집》, 《금화지비집》, 《번계시고》, 《금화경독기》와 전라도관찰사와 수원유수시절의 업무일지인 《완영일록》과 《화영일록》이 전한다.
목 차
예규지 권제4 倪圭志卷第四 재산 증식 (하) 貨殖 1. 전국의 시장 八域場? 1) 경기도 京畿 양주 楊州?여주 驪州?파주 坡州?광주 廣州?수원 水原?강화 江華?교동 喬桐?남양 南陽?인천 仁川?부평 富平?죽산 竹山?통진 通津?장단 長湍?이천 利川?안성 安城?안산 安山?양근 楊根?김포 金浦?고양 高陽?가평 加平?삭령 朔寧?마전 麻田?교하 交河?용인 龍仁?진위 振威?영평 永平?지평 砥平?음죽 陰竹?과천 果川?양성 陽城?포천 抱川?적성 積城?연천 漣川?양지 陽智 2) 충청도 湖西 공주 公州?충주 忠州?청주 淸州?홍주 洪州?전의 全義?목천 木川?직산 稷山?아산 牙山?정산 定山?청양 靑陽?대흥 大興?서산 瑞山?부여 扶餘?홍산 鴻山?임천 林川?비인 庇仁?남포 藍浦?결성 結城?노성 魯城?은진 恩津?연산 連山?진잠 鎭岑?청산 靑山?보은 報恩?회인 懷仁?문의 文義?청안 淸安?음성 陰城?천안 天安?예산 禮山?보령 保寧?회덕 懷德?옥천 沃川?면천 沔川?당진 唐津?온양 溫陽?태안 泰安?한산 韓山?연기 燕岐?영동 永同?청풍 淸風?괴산 槐山?평택 平澤?덕산 德山?진천 鎭川?황간 黃澗?제천 堤川?단양 丹陽?영춘 永春?연풍 延??해미 海美?신창 新昌?평신 平薪 3) 전라도 湖南 전주 全州?나주 羅州?광주 光州?능주 綾州?남원 南原?장흥 長興?순천 順天?담양 潭陽?장성 長城?무주 茂朱?여산 礪山?보성 寶城?익산 益山?고부 古阜?영암 靈巖?영광 靈光?진도 珍島?낙안 樂安?순창 淳昌?금산 錦山?진산 珍山?김제 金堤?창평 昌平?용담 龍潭?임피 臨陂?만경 萬頃?금구 金溝?광양 光陽?함열 咸悅?부안 扶安?강진 康津?옥과 玉果?옥구 沃溝?남평 南平?흥덕 興德?정읍 井邑?고창 高敞?무장 茂長?무안 務安?구례 求禮?곡성 谷城?운봉 雲峰?임실 任實?장수 長水?진안 鎭安?동복 同福?화순 和順?흥양 興陽?해남 海南?용안 龍安?함평 咸平?태인 泰仁?고산 高山 4) 경상도 嶺南 대구 大邱?경주 慶州?안동 安東?창원 昌原?상주 尙州?진주 晉州?성주 星州?울산 蔚山?김해金海?영해 寧海?밀양 密陽?청송 靑松?동래 東萊?선산 善山?인동 仁同?칠곡 漆谷?순흥 順興?하동 河東?거제 巨濟?거창 居昌?청도 淸道?초계 草溪?함양 咸陽?영천 永川?예천 醴泉?영천 榮川?흥해 興海?풍기 ?基?양산 梁山?함안 咸安?곤양 昆陽?합천 陜川?김산 金山?영덕 盈德?고성 固城?의성 義城?경산 慶山?남해 南海?개령 開寧?의령 宜寧?하양 河陽?용궁 龍宮?봉화 奉化?청하 淸河?언양 彦陽?진해 鎭海?진보 眞寶?함창 咸昌?지례 知禮?고령 高靈?현풍 玄風?산청 山淸?단성 丹城?군위 軍威?의흥 義興?신녕 新寧?예안 禮安?영일 迎日?장기 長??영산 靈山?창녕 昌寧?사천 泗川?기장 機張?삼가 三嘉?비안 比安?칠원 漆原?자인 慈仁?문경 聞慶?안의 安義?영양 英陽?웅천 熊川 5) 강원도 關東 원주 原州?강릉 江陵?회양 淮陽?양양 襄陽?춘천 春川?철원 鐵原?삼척 三陟?영월 寧越?이천 伊川?평해 平海?통천 通川?정선 旌善?고성 高城?간성 杆城?평창 平昌?금성 金城?울진 蔚珍?흡곡 ?谷?평강 平康?김화 金化?낭천 狼川?홍천 洪川?양구 楊口?인제 麟蹄?횡성 橫城?안협 安峽 6) 황해도 海西 해주 海州?황주 黃州?연안 延安?평산 平山?서흥 瑞興?풍천 ?川?곡산 谷山?웅진 甕津?장연 長淵?봉산 鳳山?안악 安岳?재령 載寧?수안 遂安?배천 白川?신천 信川?금천 金川?신계 新溪?문화 文化?장련 長連?송화 松禾?강령 康翎?은율 殷栗?토산 ?山 7) 평안도 關西 평양 平壤?안주 安州?정주 定州?영변 寧邊?성천 成川?창성 昌城?삭주 朔州?구성 龜城?숙천 肅川?강계 江界?삼화 三和?중화 中和?철산 鐵山?용천 龍川?선천 宣川?자산 慈山?초산 楚山?함종 咸從?운산 雲山?희천 熙川?박천 博川?덕천 德川?개천 价川?순천 順川?상원 祥原?벽동 碧潼?위원 渭原?영원 寧遠?가산 嘉山?곽산 郭山?순안 順安?용강 龍岡?증산 甑山?강서 江西?영유 永柔?삼등 三登?태천泰川?양덕 陽德?맹산 孟山?강동 江東?은산 殷山?의주 義州 8) 함경도 關北 함흥 咸興?길주 吉州?북청 北靑?영흥 永興?안변 安邊?정평 定平?덕원 德源?경성 鏡城?명천 明川?단천端川?고원 高原?문천 文川?홍원 洪原?이원 利原 예규지 권제5 倪圭志卷第五 팔역정리표 八域程里表 ?서북쪽으로 의주까지 西北抵義州第一 ?동북쪽으로 경흥·서수라까지 東北抵慶興西水羅第二 ?동쪽으로 평해까지 東抵平海第三 ?동남쪽으로 부산까지 東南抵釜山第四 ?동남쪽으로 태백산까지 東南抵大白山第五 ?남쪽으로 통영까지 南抵統營第六 ?서쪽으로 강화까지 西抵江華第七 열읍상거리수 列邑相距里數 ?경기도 열읍상거리수 京畿列邑相距里數 ?강원도 열읍상거리수 關東列邑相距里數 ?충청도 열읍상거리수 湖西列邑相距里數 ?전라도 열읍상거리수 湖南列邑相距里數 ?경상도 열읍상거리수 嶺南列邑相距里數 ?황해도 열읍상거리수 海西列邑相距里數 ?평안도 열읍상거리수 關西列邑相距里數 ?함경도 열읍상거리수 關北列邑相距里數 《예규지》 참고문헌 서목 색인
출판사 서평
예규(倪圭)’라는 서명은 장사에 능통했던 춘추 시대의 계예(計倪)와 전국 시대의 백규(白圭)의 상술을 엿본다는 의미다. 예규지 서문에 보면 서유구는 “식량과 재물을 구하는 방법은 본래 군자가 취하지 않는 일이면서도 군자가 버리지 않는 일이다.”라고 하면서 “우리나라 사대부가 스스로 고상하다고 표방하며 으레 장사를 비루한 일로 여겼던 태도는 본래 그러하였다. 그러나 궁벽한 시골에서 자신을 닦으며 대부분 가난하게 사는 무리들 같은 경우는, 부모가 굶주리고 추위에 떨어도 알지 못하고 처자식이 힘들다고 아우성쳐도 돌아보지 않고, 손을 공손히 모으고 무릎 꿇고 앉아 성리(性理)를 고상하게 이야기한다. 이들이 어찌 《사기》를 지은 사마천이 부끄럽게 여긴 자들이 아니겠는가! 그러므로 부모와 처자식을 먹여 살리는 기술을 익히지 않아서는 안 된다.”라고 예규지를 집필 의도를 밝혔다. 생계가 절박하고 힘들 때에는 사대부라도 장사를 하고 돈을 벌어야 한다고 주장은 박지원 《양반전》의 문제의식과 동일하다. 서유구는 박지원처럼 책을 통해 풍자적으로 꼬집는 대신 실질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예규지를 통해 제시한다. 궁벽하고 절박한 생계에 처한 임원에 사는 선비들에게 지출을 조절하고 절약하며 재산을 증식할 방법을 적어 이론을 제시하는 한편, 각지에서 나는 특산물이나 생산물을 소개하였고 교류하며 장사를 할 수 있도록 각지의 장시와 장이 서는 날을 적었으며, 장시의 거리를 가늠할 수 있도록 거리표를 적어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제공했다. 권1 예산의 조절은 “수입을 헤아려 지출한다”, “절약”, “경계할 일”, “미리 준비하기”로 구성되어 있다. 권1은 수입을 가늠해서 쓰고 계획을 세우며, 절약과 검소를 가장 중요한 항목으로 삼고 있다. 1년 계획을 세우고 1개월 계획을 세우며 수입이 생기면 7/10만을 사용하는 등 세부 지침을 정확하게 제시한다. 권2 재산 증식은 권3과 권4로 이어지며 권2는 가장 기본이 되는 이론을 적었다. 크게 “무역”, “재산 불리기”, “재산 매입과 관리”, “부지런히 일하기”, “일 맡기기”로 구성되어 있는데, 집안을 잘 건사하여 살아가기 위해서는 무역을 해야 하며, 재산을 불릴 수 있는 방법이나 재산을 관리하고 매입할 때 필요한 지침을 자세히 기록하였다. 또 부지런함과 검소함은 재산을 증식하기 위한 기본 조건이며, 일을 맡길 사람을 잘 고르고 종들에게도 넉넉하게 인심을 베풀 것을 재산 증식의 방법으로 제시하고 있다. 권3은 재산 증식의 두 번째 주제로 “전국의 생산물”을 소개하였다. 각 도별 물산을 개괄하며 각 도의 특성과 지형, 토질 및 풍속까지 자세히 소개하여 전국 팔도의 물산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권4는 재산 증식의 세 번째 주제로 “전국의 시장”을 소개하고 있다. 각 주와 군에서 열리는 장시와 장날, 읍내에서 장시까지의 거리 등을 자세히 기록하였다. 당시에 조사된 시장의 숫자는 무려 1,053개나 된다. 조선 시대에 국가 차원의 조사가 아닌, 개인 차원의 조사로서 이토록 전국적 규모로 조사된 예는 이 《예규지》의 자료가 유일하다. 권5는 전국 거리표로 서울을 기점으로 하여 앞 7개의 표는 “서북쪽으로 의주까지”, “동북쪽으로 경흥·서수라까지”, “동쪽으로 평해까지”, “동남쪽으로 부산까지”, “동남쪽으로 태백산까지”, “남쪽으로 통영까지”, “서쪽으로 강화까지”로 구분하여 주요 읍들 사이의 거리를 연결하여 거리를 표시하였는데, 하나의 거대한 알고리즘 순서도를 보는 것 같다. 뒤의 표 8개는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황해도, 평안도, 함경도의 각 도내의 읍 사이의 거리를 기록하여 시간을 가늠하여 정확한 기일에 장시에 도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표를 바탕으로 장날과 각 지역의 거리를 잘 계산하면, 시간과 힘의 낭비 없이 사고팔고를 반복하며 전국적으로 짜임새 있게 장사를 할 수가 있다. 직각 삼각형으로 그린 거대한 이 표는 그대로 구현하여 번역하였는데, 별지로 첨부한 표를 펼쳐보면 그 거대함에 깜짝 놀랄 것이다. 서유구가 서문 미에 밝힌 “8도의 시장과 거리를 덧붙인 것은 재화를 증식하려는 자들이 기일에 맞춰 거래를 하고 여정을 계산하여 통행하기를 바라서이다.”라는 서유구의 기대와 노력이 결코 헛되지 않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고객 리뷰
평점 리뷰제목 작성자 작성일 내용보기

아직 작성된 리뷰가 없습니다.

반품/교환
· 회사명 : 북앤북스문고   ·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1100로 3308 B1  
· 대표자 : 김대철   · 사업자 등록번호 : 661-10-02383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2023-제주노형-0169   ·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최재혁  

고객센터

(평일 09:30~17:30)
(점심 12:00~13:00)
· 전화 : 064)725-7279 (발신자 부담)
    064)757-7279 (발신자 부담)
· 팩스 : 064)759-7279
· E-Mail : bookpani@naver.com
Copyright © 2019 북앤북스문고.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