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몰랐던 울릉도, 1882년 여름

본문 바로가기

회원메뉴

쇼핑몰 검색

통합검색

우리가 몰랐던 울릉도, 1882년 여름

정가
17,000 원
판매가
15,300 원    10 %↓
적립금
850 P
배송비
3,000 원 ( 20,000 원 이상 무료배송 )
배송일정
48시간 배송 예정 배송일정안내
ISBN
9791189113025
쪽수 : 308쪽
김도훈, 박시윤  |  디앤씨  |  2019년 07월 12일
소득공제 가능도서 (자세히보기)
주문수량
 
책 소개
현직 기자와 작가가 함께 쓴 울릉도 근대사 기행!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쓴 소설 뒤 해설이 따르는 독특한 형식! 지난 100여 년 간 섬사람들이 일궈온 삶과 문화 이야기도 부록으로 엮어 ‘아직 잠 깨지 않은 바다였다. 거친 바다 위 세 척의 배는 가랑잎처럼 떠돌았다.’ 130여 년 전, 왕명을 받아 울릉도 검찰사로 임명된 이규원은 울릉도로 향하던 배의 상황을 이렇게 묘사했다. 이전 울릉도는 수백 년 동안 비워진 섬이었다. 고려 때부터 왜구의 침입이 잦았던 탓에 조선 태종 때부터 주민을 육지로 이주시키고 섬을 비우는 쇄환정책(刷還政策)을 펴왔던 터였다. 대신 2, 3년에 한 번씩 수토관(搜討官)을 보내 섬을 관리했다. 수토관은 지방군 지휘관인 삼척영장(三陟營將)과 월송만호(越松萬戶)가 교대로 맡았다. 거친 동해를 건너야하는 수토길은 녹록지 않았다. 광해군 5년(1613년) 삼척영장 김연성은 군사 180여명을 이끌고 울릉도 수토에 나섰다가 거친 풍랑을 만나 배가 전복돼 군사들과 함께 익사했다. 숙종 20년(1694년) 삼척첨사로 임명된 이준명은 울릉도 수토에 나서기가 두려워 첨사직을 회피했고, 영조 36년(1760년) 삼척영장 이유천도 비슷한 이유로 자신을 파직해달라는 문서를 조정에 올리기도 했다. 1882년 고종은 울릉도를 계속 비워둬선 안 된다는 생각에서 이규원을 현지로 보내 섬의 상황을 낱낱이 보고하도록 했다. 그 시기 이규원은 지천명(知天命)의 나이였고, 지금으로 치자면 군 사단장급 장성에 해당하는 정3품 무관이었다. 그는 10여 일 동안 울릉도 전역과 해안을 검찰한 뒤 보고서와 지도를 작성해 올렸다. 이를 바탕으로 고종이 이듬해 16가구 54명을 섬으로 이주시키며 울릉도 재개척의 역사가 시작됐다. 당시 이규원이 남긴 보고서가 ‘울릉도 검찰일기’(鬱陵島檢察日記)다. 이규원은 고종에게 하직인사를 한 뒤 출발해 울릉도를 조사하고 다시 서울로 돌아오기까지 2개월의 여정을 일기에 담았다. 특히 12일간의 울릉도 조사 기록엔 매일의 날씨와 지형, 식생, 만난 사람들, 느낀 점 등을 상세히 적었다.
저자 소개
저자 : 김도훈 1972년생. 신문기자. 하얀 산과 곧추선 절벽에 설레던 젊은 날을 보냈다. 호텔방보단 텐트가, 정장보다는 윈드재킷이 익숙했던 시절이었다. 마흔에 접어들며 쉽게 읽히는 대중적인 역사책 한 권 내고 싶다는 꿈을 품고 살았다. 이 책이 그 책인지는 알 수 없으나, 매일신문 기자로 2019년 1월 초까지 5년을 울릉도에서 보낸 결과물인 건 확실하다. 떠나는 일이 익숙했던 지난날이 너무나 아득해, 먼지 쌓인 빙벽화를 이젠 버릴까 고민하고 있다. 함께 지은 책으로 《도쿄 스토리》, 《비욘드 오사카 고베 그리고 도쿄》가 있다. 《우리가 몰랐던 울릉도, 1882년 여름》을 기획했고, 본문 속 해설 부분과 부록을 쓰고 사진을 찍었다. 저자 : 박시윤 1977년 경북 문경의 별이 많은 동네에서 태어났다. 뜻하지 않게 도회지로 나와 별 볼 일 없이 자랐다. 학창시절 끓어오르는 감정을 어쩌지 못해 글을 쓰기 시작했고 10대를 온전히 글을 쓰며 보냈다. 한때 녹록지 않은 세상살이에 절어 문학과 멀어졌으나 30대 초반 병을 앓으며 본능처럼 원고지 위로 돌아왔다. 2011년 목포문학상 신인상을 수상하며 작가의 길로 접어들었다. 도피하듯 울릉도로 떠났고 울릉도 살이 2년 만에 뭍으로 돌아왔다. 도처에 처소가 산재해 있으니 발 닿는 곳이 곧 내 처소라고 함부로 떠들며 살고 있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주는 2013 차세대예술인력육성사업 지원금을 받았고, 2019년 아르코문학창작기금 지원작가로 선정됐다. 본문 속 소설 부분을 썼다.
목 차
책을 내며 1장_가 닿으라 울진 구산포~울릉 학포 2장_영(嶺)을 넘다 학포~태하 3장_살 만한 땅 태하~현포~천부~나리동 4장_가장 높은 봉우리 나리동~성인봉~저동 5장_섬으로 온 사람들 저동~사동1리 6장_통구미골 사동1리∼통구미 7장_이름을 새기다 통구미~학포 8장_종이 위의 섬 학포~죽암 뱃길 9장_왜인의 표목 죽암~도동~사동~학포 뱃길 10장_빗장을 열다 학포~울진 구산포~서울 부록_울릉도의 삶과 문화 100년의 이야기 01 오징어잡이_ “그 많던 오징어는 어디로 갔을까” 02 목선 제작_“박 치는 목수는 목수도 아니지” 03 음식 문화_“울릉도에 살려면 ‘오징어 똥창’ 정도는 먹어야지” 04 종교와 삶_“고단한 삶 위로해준 버팀목이지” 맺으며
출판사 서평
《우리가 몰랐던 울릉도, 1882년 여름》은 검찰일기를 바탕으로 써내려간 울릉도·독도 이야기다. 울릉도에 언제부터 사람들이 살았는지, 조선 정부는 왜 울릉도를 비워두고 관리했는지, 울릉도에 사람이 살지 않았다면 독도를 어떻게 인지할 수 있었는지, 다시 사람이 살게 된 것은 언제 부터였는지 등 상당수 사람들이 잘 모르고 지나쳤을 우리 역사를 쉽게 풀어 알려준다. 현직 신문기자와 작가가 함께 작업한 결과물이란 점도 눈길을 끈다. 이 책을 기획하고 해설 부분과 부록을 쓴 김도훈은 매일신문 기자다. 그는 이 책을 완성하는 게 쉽지만은 않았다고 고백했다. 그는 “특히 이규원 일행의 울릉도 검찰 모습을 복원하는 일이 그랬다. 이규원 일행의 여정을 생생하고도 치밀하게 묘사하고 싶었지만 그건 능력 밖의 일이란 걸 실감했다”고 했다. 역사적 사실을 담보할 수 있는 사료는 검찰일기가 거의 유일했고, 기록과 기록 사이의 빈 공간을 역사적 상상력으로 채우는 일이 녹록지 않았던 탓이다. 그러나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한 상상력을 덧댄 이야기에 해설이 따르는 식’이란 당초 기획을 버릴 수도 없는 노릇이었다. 해당 부분을 박시윤 작가가 맡아 쓰게 된 이유다. 《우리가 몰랐던 울릉도, 1882년 여름》은 ‘역사의 대중화’에 방점을 두고 만들었다. 지은이 박시윤은 역사적 사실에 상상력을 더한 소설을 통해 130여 년 전 이규원 검찰사의 모습을 생생하게 되살렸다. 지은이 김도훈은 소설 뒤 이어지는 해설을 통해 그들의 여정을 소개하고 그동안 제대로 몰랐던 울릉도·독도와 관련한 대한민국 근대사를 쉽게 풀어 설명했다. 독자들이 역사의 흔적을 직접 찾아가볼 수 있도록 장소에 대한 안내도 빼놓지 않았다. 상상력을 동원했지만 기록에 없는 이야기는 피했고 객관적 사실을 따랐다. 그러면서도 독자가 읽기 편하도록 애썼다는 게 이들의 설명이다. 독특한 시선으로 울릉도 곳곳을 담아낸 100여 컷 사진은 책 읽는 재미를 더한다. “서점에 가면 울릉도에 관한 책이 차고 넘칠지도 모르겠다. 책이 넘치는 시대에 책 한 권을 보태 미안한 마음도 있지만, 이 책을 통해 많은 이들이 옛 모습을 더듬어 울릉도를 좀 더 깊이 들여다보는 기회가 됐으면 하는 바람이다. 나아가 울릉도와 독도에 대한 관심으로, 우리 땅에 대한 애정으로 이어질 수 있다면 더할 나위 없겠다.” 두 지은이의 말이다.
고객 리뷰
평점 리뷰제목 작성자 작성일 내용보기

아직 작성된 리뷰가 없습니다.

반품/교환
· 회사명 : 북앤북스문고   ·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1100로 3308 B1  
· 대표자 : 김대철   · 사업자 등록번호 : 661-10-02383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2023-제주노형-0169   ·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최재혁  

고객센터

(평일 09:30~17:30)
(점심 12:00~13:00)
· 전화 : 064)725-7279 (발신자 부담)
    064)757-7279 (발신자 부담)
· 팩스 : 064)759-7279
· E-Mail : bookpani@naver.com
Copyright © 2019 북앤북스문고.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