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폐금융론

본문 바로가기

회원메뉴

쇼핑몰 검색

통합검색

화폐금융론

정가
37,000 원
판매가
37,000 원    
적립금
1,850 P
배송비
무료배송
배송일정
48시간 배송 예정 배송일정안내
ISBN
9791130307916
쪽수 : 557쪽
노상채,김창범  |  박영사  |  2019년 08월 25일
소득공제 가능도서 (자세히보기)
주문수량
 
책 소개
저자 소개
저자 : 노상채 저자 : 김창범
목 차
PART 01 화폐금융론 기초이론 Chapter 01 화폐금융론 들여다보기 section 01 은행은 왜 은행이라 불리는가 3 1. ?오즈의 마법사?와 화폐제도 3 2. 은행은 왜 ‘은행’인가 6 3. 글로벌 금융위기 7 section 02 근대은행의 유래 9 1. 근대은행의 출현 10 2. 은행과 은행권 12 section 03 금융이론 기초 13 1. 직접금융과 간접금융 14 2. 브로커와 딜러 16 3. 금융수단 17 section 04 금융과 경제발전 18 1. 경제발전과 금융발전 18 2. 경제발전과 금융발전의 인과관계 19 보론 시사성 화폐금융 용어 21 Chapter 02 금융자산선택이론 section 01 저축이론 31 1. 시점간 소비와 저축 31 2. 예산선과 무차별곡선 31 3. 저축수준의 결정 34 4. 이자율 상승의 효과 36 section 02 채권구입행동 원리 38 1. 투자기회궤적: 예산선 39 2. 수익과 위험 사이의 무차별곡선 41 3. 최적 채권구입 42 보론 무위험채권과 위험채권을 같이 구입하는 경우 43 section 03 포트폴리오이론 46 1. 금융자산선택에 따른 수익과 위험 46 2. 포트폴리오와 투자기회궤적 48 3. 최적자산선택-최적 포트폴리오 54 Chapter 03 이자이론 section 01 이자의 의의 63 1. 이자란 무엇인가 63 2. 이자에 대한 시각 65 section 02 이자의 종류와 기능 67 1. 이자의 지급 방식 67 2. 이자의 종류 69 3. 수익률 72 4. 이자의 기능 74 section 03 이자율결정이론 75 1. 고전학파의 실물적 이자율결정이론 75 2. 케인즈의 화폐적 이자율결정이론 77 3. 대출자금설에 의한 이자율결정이론 79 4. 이자율의 기간구조와 위험구조 81 section 04 자본시장과 이자율 83 1. 자본의 개념 83 2. 자본시장의 균형 85 보론 채권가격과 이자율 88 Chapter 04 화폐이론 section 01 화폐의 의의와 기능 95 1. 화폐란 95 2. 화폐의 속성과 기능 97 section 02 화폐의 역사 100 1. 화폐의 발달 100 2. 우리나라 화폐사(貨幣史) 107 section 03 화폐제도 108 1. 화폐제도와 본위제도 108 2. 금본위제도 110 3. 화폐발행 논쟁 116 4. 관리통화제도 118 보론 중앙은행의 디지털화폐 논의 120 PART 02 금융시스템 Chapter 05 금융시스템 개요 section 01 금융시스템의 의의와 기능 125 1. 금융시스템이란 125 2. 금융시스템의 구성 125 3. 금융시스템의 기능 128 section 02 금융시스템의 유형 129 1. 은행중심시스템과 시장중심시스템 129 2. 전업주의와 겸업주의 134 section 03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변천 136 1. 초창기부터 IMF구제금융을 받기까지 137 2. IMF구제금융 시기 137 3.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39 section 04 최근 해외 금융시스템 동향 141 1. 거시건전성정책 도입 142 2. 금융감독체계 개편 및 중앙은행의 역할 증대 143 3. 글로벌 금융규제 강화 144 4. 금융소비자보호 강화 146 5. 금융기관 겸업 제한 147 section 05 핀테크의 등장 148 1. 핀테크 148 2. 크라우드 펀딩 151 3. 금융의 탈중개화 및 탈집중화 152 4. 핀테크와 금융산업의 미래 153 Chapter 06 금융기관 section 01 금융기관의 의의와 기능 157 1. 금융기관이란 157 2. 금융중개기관의 필요성 158 3. 금융기관의 기능 160 section 02 우리나라의 금융기관 163 1. 은행 163 2. 비은행예금취급기관 167 3. 금융투자업자 169 4. 보험회사 및 공제기관 170 5. 기타 금융기관 170 6. 공적금융기관 173 section 03 금융기관의 경영과 평가 175 1. 금융기관 경영 원칙 175 2. 금융기관 경영 평가 177 Chapter 07 금융시장 section 01 금융시장 개요 185 1. 융시장의 분류 185 2. 금융시장의 기능 189 section 02 단기금융시장 190 1. 콜시장 192 2. RP시장 193 3. 한국은행RP시장 194 4. CD시장 196 5. CP시장 196 6. 전자단기사채시장 198 section 03 채권시장 200 1. 회사채와 국공채 시장 201 2. 통화안정증권시장 205 3. 자산유동화증권시장 206 section 04 주식시장 208 1. 발행시장 208 2. 유통시장 210 Chapter 08 파생금융상품시장 section 01 파생금융상품 219 1. 파생금융상품의 의의 219 2. 파생금융상품시장의 특징과 기능 220 section 02 선물?옵션?스왑 원리 222 1. 선물 222 2. 옵션 225 3. 스왑 230 section 03 파생금융상품의 종류 234 1. 장내거래 파생금융상품 235 2. 장외거래 파생금융상품 237 section 04 우리나라의 주요 파생금융상품시장 242 1. 주가지수(주식)선물시장 242 2. 주가지수옵션시장 245 3. 금리스왑시장 247 4. 선물환시장 248 5. 파생결합증권시장 249 Chapter 09 금융시스템 하부구조: 금융인프라 section 01 중앙은행제도 255 1. 중앙은행 255 2. 중앙은행의 기능 259 section 02 금융감독제도 265 1. 금융감독의 의의와 목적 265 2. 금융감독의 내용 267 3. 규제와 감독에 대한 비판 270 section 03 지급결제제도 271 1. 지급결제제도와 중앙은행 271 2. 우리나라의 지급결제시스템 272 section 04 예금보험제도 275 1. 예금보험제도의 기능 276 2. 예금보험제도의 한계와 보완 277 3. 금융위험 280 section 05 기타 금융거래 지원제도 282 1. 신용거래 지원제도 282 2. 지급결제 지원제도 284 PART 03 통화와 통화정책 Chapter 10 통화의 공급 section 01 통화지표 291 1. 통화량과 통화지표 291 2. 우리나라의 통화지표 293 section 02 통화의 공급 296 1. 통화공급의 의의 296 2. 중앙은행의 본원통화 공급 299 section 03 예금창조와 통화승수 302 1. 예금창조 303 2. 통화승수 306 Chapter 11 통화의 수요 section 01 통화수량설과 통화수요 315 1. 교환방정식과 통화수요 315 2. 통화잔고수량설과 통화수요 320 3. 통화수량설의 의의와 비판 322 section 02 유동성선호이론에 의한 통화수요 323 1. 화폐보유의 동기 324 2. 유동성선호이론 모형 331 3. 유동성선호이론 평가 332 section 03 유동성선호이론의 수정 332 1. 보멀의 재고이론적 통화수요이론 333 2. 토빈의 자산선택적 통화수요 335 section 04 프리드만의 통화수요함수 340 1. 프리드만의 통화수요함수 340 2. 프리드만 통화수요함수의 의의 342 Chapter 12 통화정책 section 01 통화정책의 의의와 목표 349 1. 통화정책의 의의 349 2. 통화정책의 목표 350 3. 목표간의 상충관계 355 section 02 통화정책 운용체제 356 1. 명목기준지표 356 2. 통화정책 운용체제 357 section 03 우리나라의 통화정책 360 1. 물가안정목표제 360 2. 한국은행 기준금리 362 3. 통화정책수단 364 section 04 통화정책의 파급경로 368 PART 04 거시경제분석 Chapter 13 IS-LM 및 AD-AS모형 section 01 IS 곡선이론 377 1. IS곡선의 유도 377 2. IS곡선의 기울기와 특수한 IS곡선 380 3. IS곡선의 이동 381 section 02 LM곡선이론 383 1. LM곡선의 유도 383 2. LM곡선의 기울기와 특수한 LM곡선 385 3. LM곡선의 이동 386 section 03 IS-LM모형의 응용 387 1. 재정정책의 효과 388 2. 통화정책의 효과 389 section 04 AD-AS모형 390 1. 총수곡선 AD 390 2. 총공급곡선 AS 393 3. AD-AS곡선 모형의 응용 395 Chapter 14 인플레이션 section 01 물가지수 401 1. 물가지수의 의의 401 2. 물가지수의 종류 402 3. 물가지수의 한계: 체감물가와 지표물가 404 section 02 인플레이션 406 1. 인플레이션의 종류 406 2. 인플레이션의 원인 409 3. 인플레이션의 효과 413 4. 인플레이션 대책 416 section 03 디플레이션 419 1. 디플레이션의 원인 419 2. 디플레이션과 공황 421 3. 디플레이션의 영향과 대책 422 Chapter 15 Invisible hand는 있는가 section 01 고전학파가 보는 경제-invisible hand 427 1. 고전학파와 경제 균형 427 2. 고전학파의 AD-AS모형 430 3. 고전학파가 보는 통화?재정 정책 434 section 02 케인즈가 보는 경제-visible hand 437 1. 케인즈의 등장과 경제학 437 2. 케인즈의 AD-AS모형 440 3. 초기 케인즈 거시모형에서의 통화?재정 정책의 효과 448 4. 케인즈가 주장한 거시경제의 불균형?정부개입의 당위성 450 section 03 그래도 invisible hand는 있다-Pigou효과 452 Chapter 16 끝나지 않은 Invisible hand 논쟁 section 01 통화주의의 등장 459 1. 통화주의의 의의와 기본명제 459 2. 정책시차와 통화준칙 460 section 02 통화주의와 케인지언 462 1. 통화정책의 지표 462 2. 통화수요의 안정성 464 3. 통화정책의 파급경로 465 4. 재정?통화 정책의 효과 466 5. 경제의 본질적 안정성 467 section 03 필립스곡선과 자연실업률 469 1. 필립스곡선 469 2. 자연실업률 474 section 04 기대가설 477 1. 적응적기대가설(AEH) 478 2. 합리적기대가설(REH) 479 3. 합리적기대가설의 교량 역할 481 PART 05 국제금융 Chapter 17 국제통화제도와 환율 section 01 국제통화제도 493 1. 국제금본위제도 493 2. 브레튼우즈체제 494 3. 스미소니언체제 495 4. 킹스턴체제 496 section 02 통화의 국제화와 기축통화 496 1. 통화의 국제화 496 2. 국제통화의 효과 497 3. 통화국제화의 조건 499 section 03 외환시장 500 1. 외환시장의 의의 500 2. 외환시장의 분류 501 3. 외환시장의 규모 503 section 04 환율 504 1. 환율의 의의와 종류 504 2. 환율의 결정 508 3. 환율의 변동 511 section 05 환율제도 515 1. 환율제도의 종류 515 2. 우리나라의 환율제도의 변천 520 Chapter 18 국제금융시장과 환위험 관리 section 01 국제금융시장 527 1. 국제금융시장의 의의 527 2. 국제금융시장의 역할 528 section 02 국제금융시장의 종류 529 1. 기능별로 본 국제금융시장의 종류 530 2. 지역별로 본 국제금융시장의 종류 533 section 03 외국환은행과 외환결제제도 534 1. 외국환은행 534 2. 외환결제시스템 537 section 04 환위험과 관리 538 1. 환위험 538 2. 환위험의 관리 539 ? 국문색인 545 ? 영문색인 552 ? 인명색인 558
출판사 서평
1930년대에 케인즈가 등장하기 전에는 이렇다 할 경제정책이라는 것이 없었습니다. 경제를 시장에 맡겨두어도 된다고 생각했고, 실제로 큰 탈 없이 흘러갔습니다. 세계경제대공황이 발생하자 시장에 정부의 개입이 필요하다는 케인즈의 주장이 받아들여졌습니다. 이후 각국 정부의 시장 개입은 30여 년간 경제발전에 기여했습니다. 1970년대에 세계경제가 스태그플레이션에 시달리자 고전학파에 뿌리를 둔 신자유주의가 등장했습니다. 선진국의 후진국에 대한 시장 개방 요구가 거세지면서 동아시아 신흥국이 외환위기에 시달렸습니다. 2008년에는 선진국마저 글로벌 금융위기로 몸살을 앓았습니다. 1930년 이후 세계경제가 흔들릴 때마다 그 혼란이 금융시장의 실패에서 비롯되었다는 지적이 이어졌습니다. 대공황은 주식시장 붕괴로 시작되었고, 1997년 동아시아 경제위기는 외환위기로 시작되었으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는 파생금융상품시장의 붕괴로 시작되었습니다. 금융시장실패는 대부분이 금융규제 완화기에 발생했습니다. 오늘의 세계경제는 화폐와 금융이 쥐락펴락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화폐금융론을 공부하는 이유입니다. 노상채와 김창범의 화폐금융론 제5판이 나온 지 벌써 8년이 흘렀습니다. 5판이 나온 2011년은 글로벌 금융위기의 소용돌이가 어느 정도 잦아들던 시기이자 미국 연준이 계속해서 양적완화 정책을 밀고나가던 시기입니다. 금융시장실패에 대한 처방과 그 처방에 대한 반발로 경제계가 시끄러웠습니다. 월가 점령시위(Occupy Wall Street)가 일어난 것도 그때입니다. 이후 각국의 금융제도와 통화정책은 크고 작은 변화를 겪었습니다. 이상과 같은 일련의 변화를 담고 있는 제6판 화폐금융론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습니다. Part 1은 화폐금융론 기초이론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장은 화폐금융론 입문이고 2장은 저축, 채권구입행동의 원리 및 포트폴리오이론에 대한 설명입니다. 3장은 이자이론으로 이자의 의의, 이자의 종류와 기능, 이자율결정이론을 소개합니다. 4장은 화폐의 의의와 기능, 화폐의 역사 및 화폐제도에 대한 설명입니다. Part 2는 다섯 개의 장을 통해 우리나라의 금융시스템을 소개합니다. 한 나라의 금융시스템은 금융기관, 금융시장, 금융하부구조로 구성됩니다. 금융시스템의 개요는 5장에, 금융기관은 6장에, 전통금융시장은 7장에, 파생금융상품시장은 8장에서 설명합니다. 9장은 우리나라 금융하부구조, 즉 금융인프라의 개관입니다. Part 3는 통화이론이며 통화공급, 통화수요, 통화정책 소개와 분석입니다. Part 4는 거시경제분석 편으로 고전학파와 케인즈의 이론이 통화주의와 케인지언을 거쳐 새고전학파와 새케인즈학파로 이어지는 과정을 소개하고, 이들 이론이 각국의 거시경제와 세계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를 분석합니다. Part 5는 국제금융 편입니다. 국제통화제도와 환율, 국제금융시장과 환위험 관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번 개정판에 특히 강조하거나 달라진 부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1.한국은행을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하부구조로 보고 기술하였습니다. 중앙은행이 금융조직의 최상위 위치에 있으며 상부구조라고 생각하는 일반적인 시선과 배치됩니다. 이러한 구분 방식은 금융기관의 제도적 실체에 중점을 둔 것입니다. 자본시장통합법에 의하면 우리나라 금융기관은 은행, 비은행예금취급기관, 금융투자업자, 보험회사, 기타금융기관, 공적금융기관으로 분류됩니다. 이에 따라 투자매매업자, 투자중개업자, 집합투자업자, 투자일임업자, 투자자문업자 등 다소 생소한 금융기관이 등장합니다. 2.금융기관 현황과 업무에 대해 최신의 정보를 수록하였습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개체 수가 많은 금융기관은 ‘대부업자’로 2017년 말 현재 8,084개입니다. 대부업체는 금융기관 분류상 기타금융기관에 속합니다. 서민금융진흥원은 최근에 등장한 공적금융기관이며, 서민생활 금융지원에 관한 법률에 의거 설립되어 금융 사각지대에 속한 이들에게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3.거시경제분석 편(Part 4)은 거시경제학의 흐름 중심으로 기술하였습니다. 이 책의 읽는 독자는 대부분 경제학개론또는 거시경제학을 알거나 배운 이들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분량을 줄였습니다. ?, ? 부분은 대폭 손질하였습니다. 국제금융(18장)의 내용 중 9장과 겹치는 부분은 생략하였습니다. 4.고사성어와 속담을 인용하여 경제이론을 설명하는 등의 읽을거리는 독자들에게 ‘경제학 카페’ 역할을 할 것입니다. 고사성어와 속담은 우리 조상이 남긴 훌륭한 문화유산입니다. 잠깐 쉬어가며 고사성어와 속담 속에 들어있는 경제학 지혜를 즐기시기 바랍니다. 다만 지면관계로 몇 개의 용어만 소개했습니다. 더 자세히 알고 싶은 독자는 졸저 『고사성어로 보는 스토리 경제학』과 『속담으로 보는 스토리 경제학』을 보기 바랍니다. 이 책은 한국은행 발간자료의 도움을 많이 받았습니다. 「한국의 외환제도와 외환시장」(2016), 「한국의 금융시장」(2016), 「한국의 통화정책」(2017), 「국제금융기구」(2018), 「한국의 금융제도」(2018), 「알기 쉬운 경제지표 해설」(2019)이 책의 곳곳에 도움이 되었고, 특히 2018년에 나온 「한국의 금융제도」는 이 책 전체의 뼈대를 형성시키는 핵심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이 책 Part 2의 다섯 개 장을 읽을 때 「한국의 금융제도」를 참고하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경제학 책을 쓰다보면 띄어쓰기 문제로 늘 갈등을 일으킵니다. 이번에도 예외가 아니어서 띄어 써야 하는 몇몇의 단어로 이루어진 용어 대부분을 경제용어라는 핑계로 띄지 않고 붙여 썼습니다. 사회적비용, 비은행예금취급기관, 공공자금관리기금, 환매조건부채권 등이 그것입니다. 우리 맞춤법으로는 낯선 붙여쓰기입니다. 독자들의 양해를 구합니다. 책을 낸다는 것은 주위 도움의 결과물입니다. 이번에도 예외가 아닙니다. 이 책은 뒤죽박죽된 원고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전채린 과장님께서는 까다로운 초고부터 시작해서 탈고 때까지 매끄러운 솜씨로 편집을 이끌어주셨습니다. 개정판이 5판과 시스템 상으로 연결이 되지 않아 생고생을 하신 편집부 전채린 과장님께 미안함과 감사함을 전해드립니다. 2019년 7월 저자 노상채, 김창범
고객 리뷰
평점 리뷰제목 작성자 작성일 내용보기

아직 작성된 리뷰가 없습니다.

반품/교환
· 회사명 : 북앤북스문고   ·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1100로 3308 B1  
· 대표자 : 김대철   · 사업자 등록번호 : 661-10-02383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2023-제주노형-0169   ·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최재혁  

고객센터

(평일 09:30~17:30)
(점심 12:00~13:00)
· 전화 : 064)725-7279 (발신자 부담)
    064)757-7279 (발신자 부담)
· 팩스 : 064)759-7279
· E-Mail : bookpani@naver.com
Copyright © 2019 북앤북스문고.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