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05emn1195mqmv9ns913kp05i3

중국의 군망제도와 한국의 본관제도 연구 - 솔벗한국학총서 23

본문 바로가기

회원메뉴

쇼핑몰 검색

통합검색

중국의 군망제도와 한국의 본관제도 연구 - 솔벗한국학총서 23

정가
25,000 원
판매가
22,500 원    10 %↓
적립금
1,250 P
배송비
무료배송
배송일정
48시간 배송 예정 배송일정안내
ISBN
9788942390731
쪽수 : 396쪽
안광호  |  지식산업사  |  2019년 10월 29일
소득공제 가능도서 (자세히보기)
주문수량
 
책 소개
전통과 현대, 제도사와 성씨사를 넘나들며 한중 성씨의 특성을 명료하게 밝힌 노작 치밀한 사료 분석과 비교로 정설에 반기를 든 한국 성관 연구의 새 기수 본관과 군망을 통해 한중 비교사의 새 장을 열다 한중 두 사회의 본관本貫과 군망郡望을 비교한 흥미로운 책이 출간된다. 우송友松 이정구李廷九 선생을 기리는 솔벗재단(이온규 이사장)의 한국학총서 스물세 번째 책이다. 안광호 한국고전번역원 연구원은 한중 성씨사를 촘촘하게 훑으며 제도사적 비교를 더함으로써 성씨 연구의 새로운 차원을 개척한다. 먼지가 이는 족보와 보첩 더미에서 한중 비교사의 새 장을 여는 관점을 끌어내기까지 그 노고와 열정이 구절 곳곳에 묻어난다.
저자 소개
저자 : 안광호 전북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석사, 중국 南開大學 歷史學院에서 박사를 받았다. Harvard대학교 Yenching연구소 방문연구원(Visiting Fellow, 2005~2007)이었으며, 2019년 현재 한국고전번역원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주요 논저로는 〈李圭景의 ‘姓氏譜牒辨證說’에 나오는 중국 譜牒의 종류와 성격〉(《역사학보》 229, 2016), 〈朝鮮 後期 品官 집안과 그들의 삶-전라도 萬頃縣의 豊川任氏와 興陽縣의 水原白氏를 중심으로-〉(《고문서연구》 48, 2016), 〈中韓古代地方志的本貫記錄比較-以中國江西省吉安府的《吉安府志》和韓國全羅道南原府的《龍城續志》爲中心-〉(《安徽史學》 2014年 6期, 中國安徽省社會科學院) 등이 있다.
목 차
서문 ●7 일러두기 ●12 제1장 서론 ●13 제1절 연구 목적 ●14 제2절 연구 방법 및 연구사 정리●20 1. 연구 방법 ●20 2. 연구사 정리 ●23 제3절 연구의 한계점과 씨족제도 관련 한중 역사 용어 비교 ●39 1. 연구의 한계점 ●39 2. 씨족제도 관련 한중 역사 용어 비교 ●42 제2장 중국의 군망郡望과 한국의 본관本貫 ●45 제1절 중국의 군망제도와 한국의 본관제도 비교 -중국의 청하최씨淸河崔氏와 한국의 남양홍씨南陽洪氏를 중심으로-●46 1. 중국의 군망제도 ●50 2. 한국의 본관제도 ●68 제2절 현대 한자어 사전에 나오는 ‘군망’의 의미 검토 ●99 1. 전거典據에 대한 검토(1) ●100 2. 전거에 대한 검토(2) ●111 3. 군망의 의미에 대한 검토 ●123 제3절 청나라 시기 한 지식인의 시각을 통해 본 중국의 군망제도-청나라 시기 방동수方東樹(1772~1851)를 중심으로- ●134 1. 군망에 대한 견해 ●136 2. 군망제도가 사라진 사회적 원인 ●148 제3장 중국의 본관과 한국의 본관 ●161 제1절 한국 본관제도의 기원과 ‘토성土姓’에 관한 제설 검토 -이수건李樹健의 ‘토성분정土姓分定’설을 중심으로- ●162 1. 중국 고전에 나오는 ‘씨성氏姓’의 의미 ●164 2. 《세종실록지리지》에 나오는 ‘토성’과 ‘고적古籍’의 의미 ●173 3. 효문제孝文帝의 ‘정성족定姓族’ 정책과 당 태종의 《씨족지氏族志》 편찬 의미 ●193 제2절 송대 《경원조법사류》에 나오는 본관의 의미 ●213 1. 본적지本籍地와 본적지 관청의 의미 ●217 2. ‘가장家狀’이라는 문서 안에서의 의미 ●228 제3절 송대 《소흥십팔년동년소록》에 나오는 본관의 의미 ●248 1. 본관 기록 방식 ●252 2. 본관의 의미 ●260 제4장 중국의 적관籍貫과 한국의 본관 ●287 제1절 전통기 한중 지방지에 나오는 본관 기록 비교 -강서성 길안부 《길안부지吉安府志》와 전라도 남원부 《용성속지龍城續誌》를 중심으로- ●288 1. 《길안부지》 인물지에 나오는 본관 ●293 2. 《용성속지》 인물지에 나오는 본관 ●310 제2절 전통기 한중 성씨제도를 바라보는 두 지식인의 시각 -송나라 시대 정초鄭樵와 조선 시대 유형원柳馨遠을 중심으로-●324 1. 정초의 〈씨족략氏族略〉 ●326 2. 유형원의 《동국여지지東國輿地志》 ●337 제5장 결론 ●359 참고문헌 ●368 찾아보기 ●378
출판사 서평
엄밀한 문헌 고증과 분석으로 기존의 정설을 깨다 저자는 한국인들이 무심코 성씨 앞에 붙이는 본관은 지속되어 오고 그와 유사한 군망이 현대 중국에서는 통용되지 않는 것에 착목한다. 그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우선 한국의 본관 대 중국의 군망, 본관 대 본관, 본관 대 적관籍貫의 의미와 쓰임을 문헌 사료에서 고증하고 성씨사를 상호 고찰한다. 그 과정에서 두 가지 정설에 의문을 제기한다. 첫째, 중국 역사 문헌에 나오는 군망의 뜻이 씨족 구성원들 “원조遠祖의 본적지本籍地”임을 밝혀 현대에 편찬된 한자어 사전에 수록된 군망(“한 군郡 단위 내의 명망 있는 씨족〔望族〕”)의 뜻을 그대로 인용한 연구들의 한계를 지적한다. 둘째, 한국 본관제도가 10세기 초 고려에서 ‘토성’을 제정?분배하여 생겨난 것이라는 이수건李樹健의 ‘토성분정土姓分定’설을 재검토한다. 《경상도지리지》와 《세종실록지리지》에서 ‘토성’으로 규정하는 성씨가 서로 달랐음을 들어 ‘토성’이 ‘분정’된 성씨들이 아니라 ‘그 지역을 근거지로 하여 오랜 세월 살아온 사람들이 소유한 성씨’임을 밝힌 것이다. 저자는 이수건의 연구가 본관제도 출현 과정을 규명하려 한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평가하면서도, 본관제도는 ‘씨족제도가 발전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출현했다’(송준호宋俊浩)고 본다. 저자의 두 지적 모두 군망, 토성 등이 언급된 양국의 역사 문헌과 기록 일체를 샅샅이 조사, 검토한 뒤에 나온 결론이어서 상당한 설득력을 지닌다. 기존의 정설을 답습해 온 학계의 안일함을 질타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 또한 적지 않다. 비교사적 이해를 위한 접근 문헌 고증과 그에 따른 정설 비판이 논의를 전개하기 위한 정지작업이었다면 통사적 추이와 제도사적 접근은 한중 비교사라는 과제 수행의 주요한 방법론이다. 저자는 우선 한국 사학계에서 ‘전근대’라 부르는 시기와 중국 사학계에서 ‘고대’라 일컫는 시기를 ‘전통기傳統期’라고 명명하고, 때로는 통시적으로 때로는 횡적으로 전통과 현대, 중국과 한국, 두 시공간을 종횡무진 넘나든다. 전통기 역사의 흐름 위에 특정 성씨 가문의 상호 고찰은 물론, 본관이 기록된 사서(《소흥십팔년동년소록》)와 송대 법률집(《경원조법사류》), 전통 지방지 등을 다각도로 비교 분석한다. 중국에서는 군망이 문벌을 숭상하는 풍조가 성행하던 위진남북조에서 당대까지 존재하다가 당 말기에 ‘세변世變’(큰 사회 변화)과 ‘서실書失’(믿을 만한 가계기록의 유실)을 맞아 사성賜姓, 개성改姓 등 새로운 성씨가 생겨나면서 사라지게 되었지만, 한국사회에서 본관은 ‘원조의 본적지’를 뜻하며, 하나의 ‘관습’으로서 계속 유지되어 왔다. 이에 저자는 두 사회가 경험한 역사적 상황과 그 속에서 형성된 사회적 성격이 서로 달랐기 때문이라고 규정한다. 문벌을 지속적으로 중시해 온 전통기 한국의 “오랜 세월 동안 축적되어 이루어진 ‘고도의 안정성’”이 곧 그 차이를 만들어 냈다는 것이다. 익숙하고 당연한 것에서 새로움을 보다 서양인들은 한국의 인명이 중국의 그것과 서로 유사하다고 보지만(페어뱅크, 라이샤워 외, 《동양문화사》) 저자는 그 차이점에 주목한다. 성씨제도는 두 사회의 역사와 특성을 꿰뚫는 또 하나의 키워드임을 간파한 때문이다. 한국의 여러 성씨서들(《우리 겨레 姓氏 이야기》, 《우리 성씨와 족보 이야기》)에는 양국 본관의 차이가 언급된 바 있지만, 군망제도를 본격적으로 논의하면서 비교사로 끌어올린 것은 이 책이 유일하다. 말하자면 이수건과 송준호가 한국 성관姓貫 연구의 1세대, 선구자라고 한다면, 저자는 성씨 연구의 심화와 세분화를 주도하는 신세대라고 하겠다. 역사를 중시하는 중국과 자유롭고 실험적 주제를 다루는 미국에서 연구해 온 저자의 경험과 안목이 돋보이는 지점이다. 언어, 문학 등 문화 면에서 한중 비교 연구는 2000년대 이후로 속속 발표되고 있다. 한중 비교사로는 故 전해종, 고병익 교수가 관계사 측면에서 터를 닦고 김한규 교수가 뒤이어 성과를 낸 바 있으나 제도사적 비교는 드물다. 이러한 실정에서 넓은 역사적 시야로 두 사회의 특성을 명쾌하게 정의한 이 책은 한중 교사의 새로운 시도이자, 사적 방법론을 통한 사회사 지평의 확장이 될 것이다.
고객 리뷰
평점 리뷰제목 작성자 작성일 내용보기

아직 작성된 리뷰가 없습니다.

반품/교환
· 회사명 : 북앤북스문고   ·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1100로 3308 B1  
· 대표자 : 김대철   · 사업자 등록번호 : 661-10-02383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2023-제주노형-0169   ·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최재혁  

고객센터

(평일 09:30~17:30)
(점심 12:00~13:00)
· 전화 : 064)725-7279 (발신자 부담)
    064)757-7279 (발신자 부담)
· 팩스 : 064)759-7279
· E-Mail : bookpani@naver.com
Copyright © 2019 북앤북스문고.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