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유록 박상준 유고집

본문 바로가기

회원메뉴

쇼핑몰 검색

통합검색

몽유록 박상준 유고집 나에게 기쁨이 되어준 고전속 한 구절

정가
20,000 원
판매가
19,000 원    5 %↓
적립금
1,000 P
배송비
3,000 원 ( 20,000 원 이상 무료배송 )
배송일정
48시간 배송 예정 배송일정안내
ISBN
9791155801444
박상준  |  조계종출판사  |  2020년 12월 01일
소득공제 가능도서 (자세히보기)
주문수량
 
책 소개
나에게 기쁨이 되어준 고전古典 속 한 구절 박상준 유고집 ≪몽유록夢遊錄≫ 진효(眞曉) 박상준의 이 세상 마지막 이야기. 평생 빈고(貧苦)와 병고(病苦)에 시달렸지만 부처님 가르침을 향한 발걸음에는 한 치의 주저함도 흔들림도 없었던 학자를 기리며 동문과 지인들이 뜻을 모았다. 그의 꿋꿋한 기상과 발자취를 추모하고자 생전에 인연 닿은 곳에 기고했던 편편의 원고들을 모아 책으로 엮었다. 경전 구절과 한시(漢詩)를 통해 인간의 마음을 들여다보며, 육신의 아픔에 힘들어하고 관계의 번다함에 마음 쓰이는 자신 역시 모두 깨고 나면 아무것도 아닌 한바탕 꿈 속 나들이 중이라는 지은이의 이야기가 잔잔한 미소를 짓게 한다.
저자 소개
저자 : 박상준 1961년에 제주도 대정읍 무릉리에서 출생하였다. 1983년 동국대학교 불교학과에 진학하여 불교학을 전공하고, 보문(普門) 송찬우 선생을 사사하였으며, 1991년에 직지사 중암으로 출가하여 관응당(觀應堂) 지안(智眼) 대종사를 시봉하였다. 이후 동국대학교 역경원에 근무하며 한글대장경 역경위원과 한국불교전서 번역위원으로 활동하다가 퇴사 후 2019년 9월 18일에 갑작스런 병환으로 사망하였다.
목 차
자서自序 제1부 | 봄날의 꿈 봄날의 꿈 | 《금강경》 야부송에서 생각을 생각해 보았더니 | 《금강경》 야부송에서 거울 없는 거울 | 경허선사 〈지리산 영원사〉에서 온몸으로 글 읽기 | 구양수 〈취옹정기〉에서 오뚝이 | 김시습 〈만의〉에서 풀강아지 | 《노자》에서 하나로 연결된 세상 | 두순조사 〈법신송〉에서 지극한 선 | 《대학》에서 머물 자리를 알아야 | 《대학》에서 산마루 넘는 구름처럼 | 만공선사 〈도비산 부석사에 올라〉에서 허공에 풍선껌 불기 | 만해선사 시에서 대장부란 | 《맹자》〈등문공 하〉에서 놓아주어라 | 《맹자》〈양혜왕〉에서 마음의 바탕화면 살피기 | 《맹자》 〈진심장〉에서 제2부 | 깊어가는 가을밤에 깊어가는 가을밤에 | 백거이 〈고추독야〉에서 거미줄 위에서 함께 춤을 | 백거이 〈대작〉에서 저 모습이 내 모습 | 새벽 종송에서 흔들리지 않는 마음 | 소동파 게송에서 조용히 스쳐가는 맑은 바람처럼 | 소동파 〈전적벽부〉에서 그리운 어머니 | 신사임당 〈대관령 넘어가는 길에 친정집 바라보며〉에서 지는 꽃 바라보며 | 송한필 〈작야우〉에서 유리수에 갇힌 눈동자 | 《전등록》 〈약산장〉 이고 게송에서 공감 | 《유마경》 〈문수사리문질품〉 영역본에서 달그림자 | 《유마경》 〈관중생품〉에서 배려할 것인가, 배려받을 것인가 | 《유마경》 〈향적불품〉에서 길 잃고 산 바라보기 | 율곡 〈산중〉에서 가을비 | 이백 〈경정산에 홀로 앉아〉에서 문자로 그린 그림 | 왕유 〈서사〉에서 제3부 | 한 잔 올리오니 한 잔 올리오니 | 우집 〈한월천〉에서 사랑하는 임이여 | 이옥봉 시에서 멋들어진 한 판 | 《장자》 〈서무귀〉에서 기술 너머의 도를 터득해야 | 《장자》 〈양생주〉에서 우물 속 개구리 | 《장자》 〈추수〉에서 수성에서 물 길어다 토성에 배추 심기 | 진묵대사 시에서 봄 같지 않은 봄도 봄이다 | 정몽주 〈봄〉에서 나는 그들에게 무엇을 해주었던가 | 《중용》에서 물 밖에서 하는 물고기 호흡법 | 《중용》에서 모두 지난 일, 담아두지 말자 | 《채근담》에서 더위를 식히며 | 《채근담》에서 눈 속에서 피는 매화의 향기 | 황벽희운선사 게송에서 카테리니행 기차는 떠나고 | 함월해원선사 〈취송 스님을 애도하며〉에서 법을 구하는 창자는 어디에 | 해안봉수선사 게송에서 사흘 닦은 마음 | 혜소국사 말씀에서 연극이 끝나고 | 허응보우선사 임종게에서
출판사 서평
나에게 기쁨이 되어준 고전古典 속 한 구절 ─ 혹 당신에게도 기쁨이 될지 모를 이야기 박상준 유고집 ≪몽유록夢遊錄≫ 출간! 진효(眞曉) 박상준의 이 세상 마지막 이야기. 평생 빈고(貧苦)와 병고(病苦)에 시달렸지만 부처님 가르침을 향한 발걸음에는 한 치의 주저함도 흔들림도 없었던 학자를 기리며 동문과 지인들이 뜻을 모았다. 그의 꿋꿋한 기상과 발자취를 추모하고자 생전에 인연 닿은 곳에 기고했던 편편의 원고들을 모아 책으로 엮었다. 경전 구절과 한시(漢詩)를 통해 인간의 마음을 들여다보며, 육신의 아픔에 힘들어하고 관계의 번다함에 마음 쓰이는 자신 역시 모두 깨고 나면 아무것도 아닌 한바탕 꿈 속 나들이 중이라는 지은이의 이야기가 잔잔한 미소를 짓게 한다. 때로는 웃음으로 때로는 눈물로 온 얼굴이 범벅이 된다 해도 깨고 나면 꿈속의 일 어릴 적 사고로 오래도록 아팠다. 그런 지은이에게 안성준 선생은 ‘견로(見老)’라는 이름을 붙여주었다. 벌써 노인처럼 보인다는 의미도 되겠지만, ‘일찌감치 어깨가 노쇠해버린 사람’이란 뜻의 견로(肩老)를 살짝 비튼 것이다. 저자는 꿈 이야기를 통해 자신을 ‘기바산인(奇婆散人)’이라고도 하고 ‘하하하(下下下)’라고도 불렀다. “소동파(蘇東坡)의 〈전적벽부(前赤壁賦)〉에 ‘천지에 빌붙어 사는 하루살이 신세(寄??於天地)’라는 구절이 있습니다. 이를 전용해 사바세계(娑婆世界)에 잠시 빌붙어 사는 별로 쓸모없는 인간이란 뜻에서 ‘기바산인’이라 하였습니다.” “아래 ‘하(下)’가 셋이면 하하하(下下下)지요. 대여섯 살부터 팔순 노인의 몸뚱이로 사셨다니, 어쩔 수 없었건 스스로 선택했건 일찌감치 많은 걸 내려놓고 살았겠군요. 이것도 내려놓고, 저것도 내려놓고, 내려놓고 산다는 그 생각도 내려놓았다면 하, 하, 하지요.” 반복되면 익숙해지고 편해지는 게 세상 이치지만 고통이란 평생을 같이 해도 도저히 익숙해지지 않는다. 마음 편히 잠 한번 자보았으면 간절히 원하지만 도통 이루어지지 않는 꿈이다. 저자는 불가항력의 아픔에 저항하는 몸부림처럼 그런 시간들마저 유심히 마주보았다. “사실 그것 말고는 할 수 있는 게 별로 없었다. 그러다 불교를 알게 되었고, 어쩌다 한문을 공부하게 되었고, 그 길에서 주운 시구(詩句) 하나 게송(偈頌) 한 구절에 기이하리만큼 마음이 편안해지고 통증이 가라앉는 신비한 경험을 하게 되었다. 그게 일회성이 아니라 반복해서 일어났으니, 아름다운 시나 경전 속 게송 한 수는 나에게 명약이요, 아픔을 함께한 둘도 없는 벗이었다.” 아무리 허사라 해도 삶은 소중하고 아무리 잠꼬대라 해도 왠지 싫지 않은 이야기가 있다 시가 무엇이길래 게송이 무엇이길래 저자에게 그토록 명약이 되었을까? 저자는 시를 두고 아픔의 절제된 표현이라 했다. 게송은 한곳에 꽂혀 옴짝달싹 못하는 마음을 다른 곳으로 시선을 돌려 뻥 트이게 하는 힘이 있다. 단 몇 마디 말로 말이다. 저자는 이러한 시와 게송에 배경 설명을 붙이고 감상을 더할수록 군더더기일 뿐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하는 까닭에 대해 ‘가고 싶어도 갈 수 없는 사람’을 위해서라고 말한다. “히말라야에 직접 발을 디딘 사람에겐 히말라야에 대해 말할 필요가 없겠지요. 하지만 다들 주머니가 넉넉하고, 시간이 넉넉하다면야 얼마나 좋겠습니까? 어쩌면 노인께서 쓰레기라 표현하신 ‘히말라야에 대한 말’은 선뜻 히말라야로 나설 수 없는 사람들을 위한 것입니다. 가고 싶어도 갈 수 없는 그들에겐 노인께서 쓰레기라 표현하신 그 ‘말’이 나름 위로가 되고 희망이 되기도 하지요.” 부처를 마주할 수 있다면 무슨 말이 필요할까. 나도 중생, 너도 중생, 둘러봐도 모두 중생뿐이라면 ‘말’을 전하지 않고서 어떻게 해탈(解脫)과 열반(涅槃)을 짐작할 수 있겠느냐고 저자는 말한다. 경전이나 게송에 해설을 붙이고 설명을 하는 일이 부질없다 볼 수 있겠지만 목마른 중생에게는 무엇보다 절실한 물 한잔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중생을 위하는 자가 부처이지, 중생을 나 몰라라 하면 그게 어디 부처입니까? 어쩌면 부처님은 자신의 말이 ‘헛소리’나 ‘쓰레기’ 취급당할 날이 오기를 고대하는 분일지도 모릅니다. 나중에 ‘헛소리’ 취급당할 줄 뻔히 알면서도 그 헛소리로 중생들의 아픈 속내를 다독이고 희망을 일깨운 사람, 그런 분이 아니라면 ‘부처’라 불리지도 않았겠지요.” 저자는 시와 게송을 통해 부처를 만날 수 있었기에 육신의 고통도 잊을 수 있었다 하지 않았을까. 자신에게 기쁨이 되어준 일이 당신에게도 혹 기쁨이 될지 모른다는 따뜻한 마음, 꿈 속 나들이 같은 소중한 경험을 많은 사람들과 나누고 싶다는 마음이 전해진다. 《몽유록》은 저자가 우리에게 남기고 간 선물인 것이다. [ 책을 간행하며 ] 진효(眞曉) 박상준 선생은 동국대학교 불교학과를 졸업하고 수행(修行)과 역경(譯經), 그리고 후학 양성에 매진하다가 2019년 9월 18일에 갑작스런 병환으로 입적하였습니다. 선생은 평생 빈고(貧苦)와 병고(病苦)에 시달렸지만 부처님 가르침을 향한 발걸음에는 한 치의 주저함도 흔들림도 없었습니다. 이에 동문과 지인들이 뜻을 모아 선생의 꿋꿋한 기상과 그 발자취를 추모하고자 생전에 인연 닿은 곳에 기고했던 편편의 원고들을 모아 한 권의 책으로 엮었습니다. 온몸으로 토해낸 선생의 글이 부디 뒷사람들에게 이정표가 되기를 기대합니다. 2020년 9월 이학주 삼가 씀.
고객 리뷰
평점 리뷰제목 작성자 작성일 내용보기

아직 작성된 리뷰가 없습니다.

반품/교환
· 회사명 : 북앤북스문고   ·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1100로 3308 B1  
· 대표자 : 김대철   · 사업자 등록번호 : 661-10-02383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2023-제주노형-0169   ·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최재혁  

고객센터

(평일 09:30~17:30)
(점심 12:00~13:00)
· 전화 : 064)725-7279 (발신자 부담)
    064)757-7279 (발신자 부담)
· 팩스 : 064)759-7279
· E-Mail : bookpani@naver.com
Copyright © 2019 북앤북스문고.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