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j986tjjssfkpu9ftjf4hut5e5

당신의 그림에 답할게요

본문 바로가기

회원메뉴

쇼핑몰 검색

통합검색

당신의 그림에 답할게요 8인의 시인, 8인의 화가 : 천진하게 들끓는 시절을 추억하며

정가
16,000 원
판매가
15,200 원    5 %↓
적립금
800 P
배송비
3,000 원 ( 20,000 원 이상 무료배송 )
배송일정
24시간 이내 배송 예정 배송일정안내
ISBN
9791192768007
쪽수 : 240쪽
김연덕,박세미,서윤후,신미나(싱고),안희연,오은,이현호,최재원  |  미술문화  |  2022년 12월 14일
소득공제 가능도서 (자세히보기)
주문수량
 
책 소개
8명의 시인이 각자 친애하는 화가를 한 명씩 고르고, 그들의 그림을 각자의 언어로 탐구, 향유했다. 안희연 시인은 특정한 사조로 분류할 수 없을 만큼 독특하고 신비로운 그림 세계를 구축한 스위스 화가 ‘파울 클레’를, 서윤후 시인은 뜨겁게 불타오르는 성정을 우키요에라는 불멸의 장르로 승화시킨 일본 화가 ‘가쓰시카 호쿠사이’를, 오은 시인은 강렬한 색채를 자유분방하게 사용해 ‘야수주의’라는 사조의 시초가 된 프랑스의 거장 ‘앙리 마티스’를, 김연덕 시인은 간결하고 깔끔한 선과 색채로 천진하여 더욱 애달픈 연인 연작을 그려낸 프랑스 화가 ‘헤몽 페네’를 골랐다. 신미나 시인은 순박하고 꾸밈없는 농촌 생활을 화폭에 담은 프랑스 화가 ‘장 프랑수아 밀레’를, 이현호 시인은 영조와 정조 시대에 활약하며 기인, 미치광이, 주객 등의 별칭으로 전국팔도에 이름을 떨친 조선 후기의 천재 화가 ‘최북’을, 최재원 시인은 풍성한 색채와 영롱한 빛 표현으로 독보적인 화풍을 개척한 프랑스의 후기 인상주의 화가 ‘피에르 보나르’를, 박세미 시인은 오랜 시간 서로의 예술에 크고 작은 영감을 선사하며 우정을 나눈 한국의 동시대 화가 ‘이소화’를 골랐다. 예술이라는 이름으로 한데 묶인 시인과 화가. 이 둘을 나란히 놓고 감상함으로써 우리는 두 개의 예술이 서로를 흡수하여 하나가 되는 합일의 예술을 목격한다. 어쩌면 글로 그림을, 그림으로 글을 100퍼센트 완벽히 묘사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운 일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 가능성의 결핍이 그들을 계속해서 책상과 이젤 앞에 앉히고, 끊임없이 쓰게 하고 그리게 하는 것 아닐까? 시인과 화가가 접촉한 순간은 한 편의 산문이 되어 지금 여기에 도착했다. 이 글은 또 새로운 누군가를 만나 생경한 촉감을 남길 테다.
상세이미지
저자 소개
저자 : 김연덕 1995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서사창작과를 졸업했으며 2018 대산대학문학상을 통해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시집 『재와 사랑의 미래』, 산문집 『액체 상태의 사랑』이 있다. 모든 그림엔 각기 다른 형태의 거칠고 확실한 사랑들이 깃들어 있다고 믿는다. 저자 : 박세미 2014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했으며, 시집 『내가 나일 확률』을 펴냈다. 그림을 질료 삼아 언어가 움직일 때가 있다. 고맙고 기쁜 일이다. 저자 : 서윤후 2009년 ≪현대시≫로 등단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시집 『어느 누구의 모든 동생』, 『휴가저택』, 『소소소 小小小』, 『무한한 밤 홀로 미러볼 켜네』와 산문집 『햇빛세입자』, 『그만두길 잘한 것들의 목록』 등을 펴냈다. 고요한 그림 앞에서 홀로 떠들썩해지는 일을 좋아한다. 삶의 인기척이 많이 묻어 있는 그림을 만날 때면 이따금 다른 제목을 지어주곤 한다. 저자 : 신미나(싱고) 시 쓸 때는 신미나, 그림 그릴 때는 싱고라는 필명을 쓴다. 시와 그림의 어깨 너머로 열리는 먼 곳을 바라보길 좋아한다. 2007년 경향신문 신춘문예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시집으로 『싱고,라고 불렀다』, 『당신은 나의 높이를 가지세요』가 있고 『안녕, 해태』(전3권), 『詩누이』, 『서릿길을 셔벗셔벗』 등을 쓰고 그렸다. 저자 : 안희연 2012년 창비신인시인상을 수상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시집 『너의 슬픔이 끼어들 때』, 『밤이라고 부르는 것들 속에는』, 『여름 언덕에서 배운 것』과 산문집 『당신은 나를 열어 바닥까지 휘젓고』, 『단어의 집』 등을 펴냈다. 다시 태어나면 그림 그리는 사람으로 살고 싶다고 소망할 만큼 미술을 사랑한다. 그림이 나를 발견해 주기를, 나를 상처 입히고 먼 곳으로 데려다주기를 늘 바란다. 저자 : 오은 시집 『호텔 타셀의 돼지들』, 『우리는 분위기를 사랑해』, 『유에서 유』, 『왼손은 마음이 아파』, 『나는 이름이 있었다』, 청소년 시집 『마음의 일』, 산문집 『너랑 나랑 노랑』, 『다독임』 등을 냈다. 박인환문학상, 구상시문학상, 현대시작품상, 대산문학상을 수상했다. “그림을 그린다”라는 말을 좋아한다. 그것이 마치 “그리움을 그리워한다”라는 말처럼 들린다. 그림을 그리워하는 사람으로 남겠다고 오늘도 다짐한다. 저자 : 이현호 시집 『라이터 좀 빌립시다』, 『아름다웠던 사람의 이름은 혼자』, 『비물질』과 산문집 『방밖에 없는 사람, 방 밖에 없는 사람』을 펴냈다. 미술은 잘 모르지만, 우리가 가꾸고, 꾸미고, 가다듬고, 매만지고, 손질하고, 보살피는 모든 데 미술이 있다고 생각한다. 미술 작품이란 저 손길들이 한곳에 오래 머물다 간 자리가 아닐까. 저자 : 최재원 시집 『나랑 하고 시픈게 뭐에여?』로 제40회 김수영문학상을 수상했다. 말로 다 못 하는, 말이 안 나오는, 말도 안 되는, 말을 못 잇게 하는, 말문을 막는 것들이 말을 거치지 않고, 말을 뚫고, 말없이 전달될 때, 두 세계가 거짓말처럼 몸을 겹쳐 자신과 서로를 껴안을 때 희열을 느낀다. 그림을 통해 텅 빈 공간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테두리가 중앙만큼 소중하다는 것을, 성실함과 게으름은 뫼비우스의 띠처럼 공존해야 한다는 것을, 한계 속에서만이 한계를 뛰어넘는 자유를 탄생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배웠다. (새로운 도시에 가면 일단 미술관에 간다. 미술관에 가려고 새로운 도시에 간다. 전후로는 무조건 든든히 먹는다. 하나의 그림은 말 없는 하나의 도시, 한 사람의 무음의 세상, 여러 세계를 넘나들다 보면 배가 고프기 마련.)
목 차
들어가며 안희연 × 파울 클레 ………… 외발로 하는 멀리뛰기 서윤후 × 가쓰시카 호쿠사이 ………… 순간중심 오은 × 앙리 마티스 ………… 그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춤 김연덕 × 헤몽 페네 ………… 강하고 천진한 연인 신미나 × 장 프랑수아 밀레 ………… God Help the Outcasts 이현호 × 최북 ………… 생활과 영혼 그리고 영원 최재원 × 피에르 보나르 ………… 상상-기억의 그리움 박세미 × 이소화 ………… 아직 건너오지 않은 그림
출판사 서평
8인의 시인 × 8인의 화가 그림을 향유하는 시인들의 언어 시공을 초월한 여덟 번의 만남 “그리고 나는 다시 그림 앞에 선다. 같은 그림을 본다.” 안희연, 서윤후, 오은, 김연덕 신미나, 이현호, 최재원, 박세미 8명의 시인이 각자 친애하는 화가를 고르고 그들의 그림을 언어로써 향유한 사랑스러운 합일(合一)의 기록 시와 그림을 나란히 놓고 보자. 단순하게 구분하자면 한쪽은 글로 쓴 예술이고, 한쪽은 선과 색으로 그린 예술이다. 보다 엄밀한 설명도 가능하겠지만 그건 너무도 복잡하고 심오한 세계라 이쯤에서 넘어가 본다. 시와 그림은 자주 한데 엮였다. 말하지 않음으로써, 말을 줄임으로써 말해지는 무언가가 담겨 있다는 공통점 때문일까? 대상을 구체적으로도 추상적으로도 표현할 수 있지만, 어느 쪽이든 결국 읽고 감상하는 이의 관점에 따라 무한히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는 공통점 때문일까? 아무래도 좋다. 시와 그림은 조용히 우리의 마음을 부수고 깨뜨리고 치유하고 복원한다는 점에서, 이토록 희미한 세상의 한 구석을 한결같이 예리하게 투사해 헤집어 놓는다는 점에서, 가장 잘 어울리는 한 쌍이니까. “새로운 도시에 가면 일단 미술관에 간다. 미술관에 가려고 새로운 도시에 간다. 전후로는 무조건 든든히 먹는다. 하나의 그림은 말 없는 하나의 도시, 한 사람의 무음의 세상, 여러 세계를 넘나들다 보면 배가 고프기 마련.” (최재원) 『당신의 그림에 답할게요』는 이러한 시와 그림을 적나라하게 사랑하고 싶어서 기획된 책이다. 고유한 세계관과 예리하게 벼린 시어로 이미 시를 사랑하는 독자들에게 단단히 각인된 시인 여덟 명이 한 자리에 모여 그림을 논했다. 안희연 시인은 특정한 사조로 분류할 수 없을 만큼 독특하고 신비로운 그림 세계를 구축한 스위스 화가 ‘파울 클레’를, 서윤후 시인은 뜨겁게 불타오르는 성정을 우키요에라는 불멸의 장르로 승화시킨 일본 화가 ‘가쓰시카 호쿠사이’를, 오은 시인은 강렬한 색채를 자유분방하게 사용해 ‘야수주의’라는 사조의 시초가 된 프랑스의 거장 ‘앙리 마티스’를, 김연덕 시인은 간결하고 깔끔한 선과 색채로 천진하여 더욱 애달픈 연인 연작을 그려낸 프랑스 화가 ‘헤몽 페네’를 골랐다. 신미나 시인은 반 고흐가 존경한 화가이자 순박하고 꾸밈없는 농촌 생활을 화폭에 담은 프랑스 화가 ‘장 프랑수아 밀레’를, 이현호 시인은 영조와 정조 시대에 활약하며 기인, 미치광이, 주객 등의 별칭으로 전국팔도에 이름을 떨친 조선 후기의 천재 화가 ‘최북’을, 최재원 시인은 풍성한 색채와 영롱한 빛 표현으로 독보적인 화풍을 개척한 프랑스의 후기 인상주의 화가 ‘피에르 보나르’를, 박세미 시인은 오랜 시간 서로의 예술에 크고 작은 영감을 선사하며 우정을 나눈 한국의 동시대 화가 ‘이소화’를 골랐다. 우리의 시절을 관통한 그림들 우리의 시를 관통한 화가들 시인들은 저마다 다른 시선과 언어로 그림을 향유했지만, 한 가지 공통점이 있다. 그들이 고른 화가와 그 그림이 시인들의 한 시절을 예리하게 관통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를테면 서윤후 시인은 가쓰시카 호쿠사이를 두고 “이십 대의 방황 속에서 우정을 짙게 나눈 작가 중 한 사람”이라고 부르며 “마치 언젠가 소식이 끊겨버렸지만 한 시절의 깊은 우정을 나눴던 친구처럼 내 기억 속에 남아 있다”고 추억한다. 시인은 호쿠사이의 〈가나가와 해변의 높은 파도 아래〉 속 성난 파도를 바라보며, 펄펄 끓어올랐던 호쿠사이의 정열과 갓 시인이 되어 조급하고 서투른 마음으로 안달했던 자신의 이십 대를 병치한다. 또한 김연덕 시인에게 헤몽 페네는 열세 살에 처음 만나 “한낮의 서점에서, 잠깐의 순간에도 그의 연인들에 매혹”되게 만든 화가다. 시인은 “나는 오직 페네를 위해, 책에서 20페이지도 차지하지 않는 그 부분을 읽고 간직하기 위해 그것을 계산대로 가져갔다. 그의 그림은 거의 내가 들고 다니는 노트에 한 낙서 같았고 그게 낙서라면, 내가 태어나 보았던 낙서들 중 가장 이상하고 아름다운 것이었다.”고 말하며 유년 시절을 강렬하게 사로잡았던 페네의 그림을 추억한다. 시인은 열세 살 꼬마에서 스물여덟이 되었고, 그 사이 시인에게 찾아온 사랑들의 “겉과 안은 여전히 아프고 어렵게 느껴진다.” 그리고 이때, 페네가 그린 천진한 연인들은 다시 부활하여 시인과 조우한다. 한편 안희연 시인에게 파울 클레는 최승자와 더불어 그의 이십 대를 정의하는 아이콘이었다. 그는 한때 “클레의 작품을 보고 신선한 충격에 사로잡혔고 그것을 언어화하려는 야심 찬 계획”을 세웠지만 결국 “나의 시도는 미수에 그쳤다. 제목과 주석만 초라하게 남은 저 광활한 실패를 보라. 아마 시를 쓰면서 처음으로 마주한 장벽이 아니었을까. 모든 자극이 다 시가 되지는 않는다는 것, 어떤 그림은 그 자체로 크고 넓어 언어가 되기를 거부한다는 것.”이라는 사실을 깨닫는다. 시인이 십여 년 만에 다시 만난 클레의 그림에는 허공을 바라보며 소리 지르는 여인이, 어딘가로 빨려 들어갈 듯 기우뚱한 전나무가, 겁을 집어먹은 듯 처연하게 눈물 한 방울 떨구고 있는 인물이 그려져 있다. 기억을 거슬러 올라간 뒤 시인은 고백한다. “지금껏 써온 나의 시들이 상당 부분 클레에게 빚지고 있었음을 알게 됐다.” 시 쓰는 사람이 되기 위해, 아니, 시 쓰는 사람으로 ‘인정’받기 위해 청춘을 달려온 시인들에게 그림은 때론 위안을, 때론 공감을, 또 때론 조언을 해주었다. 시인이 되고 시집을 펴내며 마주한 고민의 시간과 다양한 인연들 속에서 아파한 이들에게 그림은 때론 사랑을, 때론 상실을, 또 때론 연민을 불러일으켰다. 시인들의 한때가 짙게 묻은 그림을 보며 독자들은 시인이 품고 있는 기억의 한 구석을 그들과 공유하며, 그것이 산문으로 발화하는 과정을 찬찬히 따라가게 된다. 놀라지 마세요 그것은 끈끈하게 엉겨들어 한 덩이가 된 시와 그림이 여러분에게 가닿는 느낌입니다 예술이라는 이름으로 한자리에 모인 시와 그림. 글과 색. 펜과 붓. 문장과 색채. 그리고 시인과 화가. 이 둘을 나란히 놓고 감상함으로써 우리는 두 개의 예술이 서로를 흡수하여 하나가 되는 합일의 예술을 목격한다. 어쩌면 글로 그림을, 그림으로 글을 100퍼센트 완벽히 묘사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운 일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 가능성의 결핍이 그들을 계속해서 책상과 이젤 앞에 앉히고, 끊임없이 쓰게 하고 그리게 하는 것 아닐까? 시인과 화가가 접촉한 순간은 한 편의 산문이 되어 지금 여기에 도착했다. 이 글은 또 새로운 누군가를 만나 생경한 촉감을 남길 테다.
고객 리뷰
평점 리뷰제목 작성자 작성일 내용보기

아직 작성된 리뷰가 없습니다.

반품/교환
· 회사명 : 북앤북스문고   ·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1100로 3308 B1  
· 대표자 : 김대철   · 사업자 등록번호 : 661-10-02383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2023-제주노형-0169   ·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최재혁  

고객센터

(평일 09:30~17:30)
(점심 12:00~13:00)
· 전화 : 064)725-7279 (발신자 부담)
    064)757-7279 (발신자 부담)
· 팩스 : 064)759-7279
· E-Mail : bookpani@naver.com
Copyright © 2019 북앤북스문고.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