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로움의 습격

본문 바로가기

회원메뉴

쇼핑몰 검색

통합검색

외로움의 습격 모두, 홀로 남겨질 것이다

정가
18,800 원
판매가
16,920 원    10 %↓
적립금
940 P
배송비
3,000 원 ( 20,000 원 이상 무료배송 )
배송일정
24시간 이내 배송 예정 배송일정안내
ISBN
9791191183276
쪽수 : 352쪽
김만권  |  혜다  |  2023년 12월 15일
소득공제 가능도서 (자세히보기)
주문수량
 
책 소개
지금 세계엔 그 어느 때보다도 많은 인구가 살고 있다. 그리고 대부분 문만 열면 바로 다른 이의 존재를 발견할 수 있는 도시에 머물고 있다. 심지어 놀라운 기술의 발전 덕에 모두가 연결된 ‘초연결 사회’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많은 이들이 외로움에 시달리고 있다. 영국에 이어 일본에서도 ‘고독부 장관’을 임명했다고 한다. 그래서일까? 정치경제학자 노리나 허츠는 21세기를 ‘외로운 세기the lonely century’라 이름 붙였다. 외롭거나 외로워지고 있는 사람들의 사정을 일일이 알아낼 순 없다. 하지만 사람들이 외로워지는 이유와 과정에 대해 철학적으로, 사회·정치적으로 접근해 보는 건 가능하다. 사람들이 그 어느 때보다 외로움을 많이 느끼고 있다면, 분명 우리를 이렇게 만든 21세기만의 조건이 존재할 것이다. 그것이 무엇인지 밝혀내는 일이야말로 철학이 할 일이라고, 저자는 생각한다.
상세이미지
저자 소개
저자 : 김만권 김만권은 철학자다. 땅에 발 딛고 선 철학을 하고파서 정치철학을 한다. 그러고 보니 생각으로 현실에 세상을 짓는 게 직업이다. 한편으로 김만권은 일곱 살 아이를 둔 아빠이기도 하다. 너무 늦은 나이에 본 아이라 그럴까? 어떻게 하면 이 아이가 안심하고 살 세상을 지을 수 있을까 이런저런 고민이 많다. 승자들이 모든 것을 가져가는 세상에서 그 모든 것을 가져가는 아이로 키워야 하나? 한때 이런 바보 같은 생각을 하기도 했다. 고민 끝에 내린 결론은 이렇다. 100분의 1도 안 되는 승자가 될 확률에 걸기보다는 아이가 평범하게 자라도, 아니 조금 모자라게 커도 걱정 없이 맘껏 사랑하고, 존중받고, 좋아하는 일을 할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게 훨씬 현명한 길이라는 것, 내 아이에게 안전하고 좋은 세상이라면 세상의 모든 아이에게도 그럴 것이라는 것. 그래서 아빠는 아이에게 이렇게 말할 수 있는 세상을 짓고 싶다. “걱정하지 말고 네가 원하는 일을 해도 괜찮아!” 지난번에 쓴 《새로운 가난이 온다》에서 우리 삶을 잠식하는 가난과 불안에 대해 이야기했던 것도, 이번 책에서 다시 우리 일상에 스며든 고립과 외로움을 다룬 것도, 모두 우리 아이들이 살아갈 미래만은 달랐으면 하는 간절함 때문이었다. 그동안 《열심히 일하지 않아도 괜찮아!》, 《호모 저스티스》, 《불평등의 패러독스》 등 10여 권의 책을 썼고, 《민주주의는 거리에 있다》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최근엔 EBS e-class에서 ‘근대 정치철학사’, ‘20세기 정치철학사’ 등을 강의했다. 현재 경희대 학술연구교수이자 국가인권위원회 사회권전문위원회 전문위원이며, 인공지능 시대의 인문학을 고민하는 콜렉티브 휴먼 알고리즘 의 창립 멤버 겸 대표로 일하고 있다.
목 차
005 prologue ‘21세기 우리’의 또 다른 이름, ‘외로움’ 1장 ‘외로워진다’는 것 022 21세기, 외로움을 만나다 028 외로움이란 무엇인가? : 외로움의 ‘짧은’ 역사 035 왜 외로움이 위험한가? 044 우리는 얼마나 외로울까? 053 20대, 외로운 세기의 가장 외로운 세대 2장 외로움이 ‘디지털’을 만날 때 065 외로움이 ‘디지털’을 만날 때 073 왜 디지털은 분배 격차를 만들어 낼까?① : 경이적인 발전 속도 079 왜 디지털은 분배 격차를 만들어 낼까?② : 네트워크 효과 084 왜 디지털은 분배 격차를 만들어 낼까?③ : 중숙련 일자리 대체와 저숙련 일자리 증가 088 격차를 더 뚜렷하게 만드는 생성형 인공지능 092 데이터가 나에게 말을 걸기 시작했다 108 ‘론리 사피엔스’가 된 디지털 인류를 위한 공동체 3장 데이터가 ‘편견’을 만날 때 119 인간은 정보처리 시스템이다? 124 데이터란 무엇인가? 128 왜 거대한 규모의 데이터는 인간을 필요로 할까? 139 빅데이터는 인간의 노동을 과소평가한다 149 빅데이터도 편견을 가진다 161 빅데이터는 빈곤한 이에게 더 엄격하다 172 빅데이터는 일하는 자에게도 엄격하다 180 빅데이터도 학연, 지연, 성별 등에 연연한다 186 빅데이터는 지구마저 외롭게 만든다 195 인간이 맺는 좋은 관계가 좋은 데이터를 만든다 4장 외로움이 ‘능력주의’를 만날 때 204 ‘능력주의’란 무엇인가? 209 ‘능력’이란 무엇일까? 216 왜 우리는 능력주의에 열광하는가? 221 능력도 상속된다 229 능력주의는 왜 성공한 사람에게도 해로울까? 238 ‘한국의 능력주의’는 뭐가 다를까? 246 능력주의가 ‘고용 신분 사회’를 만든다고? 255 능력주의가 중산층마저 외롭게 만든다고? 260 굴욕의 정치가 만드는 우파 포퓰리즘 268 ‘디지털 능력주의’ 시대, 최저임금에도 못 미치는 외로움 5장 외로움의 ‘습격’,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280 사회적 가치 차원의 대응책 : 강박적 자기 책임의 윤리에서 벗어나자 286 사회 문화적 차원의 대응책① : ‘경청’하는 사람들의 공동체를 만들자 292 사회 문화적 차원의 대응책② : 경청을 시민교육의 핵심으로 삼자 297 분배 차원의 대응책 : ‘노동시장’을 통하지 않는 분배 대안 300 노동을 분배 기준으로 삼지 않는 기본소득과 기초자산 305 기초자산을 작동하게 만들기① : ‘생애 주기 자본금’ 311 기초자산을 작동하게 만들기② : ‘생애 주기 자본금’의 재원, 배당, 수령 조건, 반환 319 기본소득 작동하게 만들기① : ‘인생 위기·전환 대응 소득’ 323 기본소득 작동하게 만들기② : ‘인생 위기·전환 대응 소득’의 재원, 배당, 수령 조건, 반환 330 권리 차원의 대응책 : 디지털 시민권 343 epilogue ‘아빠’라는 몽상가들에게
출판사 서평
가난/ 디지털 기술/ 능력주의가 만드는 외로움의 시대! 인류는 어떻게 이에 맞서 싸울 것인가 이렇게 외로운 시대는 없었다 어떤 이들은 외로움이 시간이 남아도는 사람들이 느끼는, 일종의 사치품에 가까운 감정이라 치부하기도 한다. “바쁘고 치열하게 살아 봐라, 외로울 틈이 있나!” 하지만 이런 생각이 틀렸다는 걸 수많은 통계들이 보여 주고 있다. 21세기야말로 그 어느 때보다 바쁘고 치열한 시대인데 이 시기에 외로움이 하나의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것만 봐도 그렇다. 외로움이 개인의 일상뿐만 아니라 정치와 경제, 사회적 삶에까지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상황이다. 오죽하면 영국에서 ‘외로움부 장관’을 임명하고 일본에서 ‘고독부’를 신설했겠는가.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20대의 경우만 놓고 봐도 10명 중 4명이 ‘상시적으로’ 외로움을 겪고 있다고 호소했다. 특히 1인 가구로 살아가는 20대일수록 양질의 일자리가 줄어드는 상황과 팬데믹, 디지털 기술 등이 불러온 공동체의 단절 속에 고립의 강도는 점점 높아만 지고 있다. ‘외로운 세기’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21세기, 사람들이 미처 인식할 틈도 없이 외로움이 우리의 삶을 습격한 것이다! 외로움이 디지털 기술을 만날 때 벌어지는 일 인류가 외로워지고 있는 것과 상관없이 AI로 대표되는 디지털 기술은 눈부시게 발전 중이다. 그러나 사람들은 이 놀라운 기술이 우리의 삶을 더욱 외롭게 만들고 있다는 걸 모른다. 기술 발전의 속도가 너무나 빠른 나머지 평범한 이들은 따라잡기조차 어렵고. 그 속도에 적응하지 못한 사람들은 낙오자로 전락한다. 물론, 디지털 기술의 등장 이전부터 사회는 그리 평등한 곳이 아니었다. 하지만 디지털 기술은 분배의 격차를 더 크게 벌리며 양극화와 불평등 문제를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 노동자들은 각종 온라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형성된 노동 시장에서 최저임금도 받지 못하는데, 플랫폼 회사들은 중간에서 막대한 수수료를 챙긴다. 이런 컨시어지 경제를 이끄는 기업들은 중개만으로 막대한 부를 챙기면서도 노동자들에게 최소한의 사회보험을 제공하는 일에는 관심조차 없다. 기술의 발전이 가난과 불평등으로 고립된 이들을 점점 더 외로움에 빠뜨리고 있는 것이다. AI가 유일한 대화 친구라면 이렇게 관계가 단절되고 사람들이 고립되어 가는 시대에, 때마침 등장한 대화형 인공지능은 인간의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까? 기나긴 팬데믹과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대면 활동이 적었던 젊은 세대일수록 사람과 관계 맺는 일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설문 조사에서 20대의 47%가 “사람들의 얼굴을 보며 소통하는 것이 두렵다.”고, 50%는 “실제로 사람을 만나는 상황에 놓이면 무슨 말을 꺼내야 할지부터 걱정이다.”라고 답했다. 더욱 문제인 것은, 젊은 세대가 디지털 기술이 제공하는 여러 서비스를 이용하며 사적 영역에 홀로 갇혀 있음에도 실제로는 인간과 소통하고 있다고 착각한다는 것이다. 가뜩이나 외로움 문제를 많이 호소하는 20대에게 인공지능이 유일한 대화 친구가 된다면, 앞으로 인간은 어떻게 다른 인간과 관계를 맺을 수 있을까? 인간과도 관계를 잘 맺지 못하는 인류가 과연 AI로 대표되는 기계들과는 올바른 관계를 맺어 나갈 수 있을까? 빅데이터가 지닌 편향성이 우리를 더욱더 외롭게 한다 상황이 이러함에도 사회의 많은 영역에서 AI가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많은 이들이 AI가 사람보다 더 객관적이고 공정할 거라는 믿음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현실은 다르다. AI를 학습시키는 데 사용하는 빅데이터 안에는 이미 오랫동안 인간이 답습해 온 편견과 차별, 혐오의 문화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 이런 편향성을 지닌 AI를 이용해 면접을 보고,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하는 현실은 공정성과 객관성을 기대하기 어렵게 만든다. 이뿐만이 아니다. 온갖 행정 시스템에 도입된 AI는 복지 혜택이 필요한 가난하고 힘없는 이들에게 더 엄격한 잣대를 들이대며 더 많은 정보와 더 까다로운 자격을 요구하는 방식으로 ‘디지털 구빈원’을 만들어 가고 있다. 또한 일터에는 온갖 디지털 기술을 동원하여 노동자들의 일상을 감시하는 ‘디지털 파놉티콘’이 생겨나고 있다. 발전된 기술이 우리의 삶을 외롭게 만드는 데 이용되고 있는 것이다. 능력주의 세상에서 각자도생하느라 더욱더 외로워지는 사람들 불평등이 점점 더 심화되자 이를 능력주의로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사회적 자본을 놓고 벌이는 경쟁이 격화되자 공정성에 집착하기 시작한 사람들은 유일한 해결책으로 거론된 능력주의에 열광하는 분위기다. 하지만 사람들이 믿고 있는 것만큼 능력주의는 공정하지 않다. 능력이라는 것의 많은 부분이 생득적으로든, 세습적으로든 운에 좌우된다. 특히나 사다리 꼭대기에 있는 엘리트 계층은 자녀들에게 ‘능력’을 만들어 물려주기 위해 중산층은 상상할 수도 없을 만큼의 자원을 투자하고 있다. 평범한 이들은 이러한 현실은 외면한 채 얼마 되지 않는 양질의 일자리와 사회적 지위, 부를 놓고 서로를 배격하며 벽을 높이 쌓는다. 이렇게 능력주의는 이미 많은 것들을 가지고 있는 자들이 능력을 핑계 삼아 더 많이 가져가는 현실을 도덕적으로 용인해 준다. 반대로 성공하지 못한 자들은 능력이 없는 자들, 게으른 자들로 취급당하며 도덕적인 비난까지 받고 있다. 힘없는 이들은 이런 비난을 피하기 위해 도움이 필요할 때조차 사회를 향해 손을 내밀지 않는다. 능력주의라는 이데올로기가 만들어 낸 그늘은 이렇게 짙어만 간다. 외로움의 습격,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이 문제에 대한 대응을 개인에게 맡기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 이런 구조적 문제에 개인이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은 고작 ‘인공지능이 못 하는 일을 생각해 보고, 각자 창의력을 열심히 길러 보라.’는 자기 계발서 수준의 조언밖엔 없다. 게다가 이러한 해결책은 결국 디지털 격차를 받아들이고 능력주의를 지배적 발상으로 수용하는 것에 불과해 진정한 해결책이라 부를 수도 없다. 위기의 시대에 철학의 임무는, 특히 정치철학의 임무는 불안한 개인들을 보호할 수 있는 사회적 시스템을 만드는 데 적극적으로 나서고, 이를 통해 사람들이 세상과 잘 어울리며 살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이러한 전제 하에 거리의 철학자로 수많은 대중 강의를 지속해 온 저자는 기초자산에 바탕을 둔 ‘생애 주기 자본금’과 기본소득에서 아이디어를 얻은 ‘인생 위기·전환 대응 자금’을 분배의 격차를 줄이기 위한 대안으로 제안한다. 또한 사회?문화적 차원의 대응책으로 어려운 이들이 도움을 청할 때 이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일 수 있는 경청의 문화를 만들고 시민들을 대상으로 이를 교육하자고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권리 차원의 대응책으로 디지털 시민권을 제정하고 디지털 기술이 만들어 내는 격차를 줄여 기술 발달에 뒤처진 이들을 보호자하고 제안한다. 아빠의 간절한 마음 저자는, 한 아이의 아빠로서 이 세상을 조금이나마 바꾸고 싶다고 말한다. 자신의 어린 아들에게 ‘외로운’ 세계를 물려줄 수는 없다고 말한다. 내 아이가 외롭지 않으려면 내 아이와 어깨를 맞대고 살아갈 다른 아이들도 외롭지 않아야 한다. 비록 아무것도 바뀌어 내지 못할지라도, 자신은 아빠이므로 무엇이라도 해야 한다고 말한다. 이 간절함은 늦은 나이에 어린 생명을 이 세상에 오게 한 아빠로서 책임져야 할 최소한의 의무다. 이 책은 그런 마음으로 걸어간 여정이다. 그 여정에 많은 이들이 함께하길 바란다.
고객 리뷰
평점 리뷰제목 작성자 작성일 내용보기

아직 작성된 리뷰가 없습니다.

반품/교환
· 회사명 : 북앤북스문고   ·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1100로 3308 B1  
· 대표자 : 김대철   · 사업자 등록번호 : 661-10-02383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2023-제주노형-0169   ·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최재혁  

고객센터

(평일 09:30~17:30)
(점심 12:00~13:00)
· 전화 : 064)725-7279 (발신자 부담)
    064)757-7279 (발신자 부담)
· 팩스 : 064)759-7279
· E-Mail : bookpani@naver.com
Copyright © 2019 북앤북스문고.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