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d42n8420br9c2b2tbb0es2s4

강남은 어디인가 청나라 황제의 강남 지식인 길들이기

본문 바로가기

회원메뉴

쇼핑몰 검색

통합검색

강남은 어디인가 청나라 황제의 강남 지식인 길들이기

정가
36,000 원
판매가
32,400 원    10 %↓
적립금
1,800 P
배송비
무료배송
배송일정
48시간 배송 예정 배송일정안내
ISBN
9788967352752
쪽수 : 804쪽
양녠췬  |  글항아리  |  2015년 12월 18일
소득공제 가능도서 (자세히보기)
주문수량
 
책 소개
[강남은 어디인가]는 청 왕조의 ‘정통관正統觀’ 수립의 복잡한 배경과 내용을 탐색하면서 ‘도통道統’의 담지자였던 강남江南 사인士人들이 청나라 황제와 ‘도통’의 주도권 쟁탈 과정에서 어떻게 ‘대일통大一統?’의 협조자로 변모하게 되었는지를 고찰한 저술이다.
저자 소개
저자 양녠췬楊念群은 중국 런민대 청사연구소淸史硏究所에서 『유학의 지역적 분포와 근대 지식집단의 변천儒學的地域分布與近代知識群體演變』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런민대 청사연구소 부소장이자 박사지도교수로 재직 중이다. 양녠췬은 학문적 유서가 깊은 집안에서 자라났는데 그의 증조부는 중국 근대의 유명한 정치가인 양두楊度(1875~1932)이며 외증조부는 중국 근대 최고의 사상가이자 학자인 량치차오梁啓超(1873~1929)다. 저자 양녠췬은 중국 사상문화사와 근대사회사 연구를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소외됐던 사회의 기층·민간 역사를 새로운 시각으로 재구성하는 데 관심이 두고 많은 학술적 업적을 쌓아왔으며 대부분의 책들이 기존 연구의 낡은 틀을 해체하려는 시도를 품고 있어 학술적 토픽의 중심에 늘 자리하고 있다. 주요 연구로는 『유학 지역화의 근대적 형태: 3대 지식인 집단의 상호작용 비교 연구儒學地域化的近代形態: 三大知識群體互動之比較硏究』(1997), 『공간·기억·사회의 전환: ‘신사회사’ 논문 정선집空間·記憶·社會轉型: “新社會史”論文精選集』(주편, 2000), 『양녠췬 자선집楊念群自選集』(2000), 『중층이론: 동서 사상 회통의 중국사 연구中層理論: 東西方思想會通下的中國史硏究』(2001), 『환자의 재구성: 중국과 서양의 충돌 속 공간의 정치再造“病人”: 中西醫沖突下的空間政治(1832~1985)』(2006), 『강남은 어디인가何處是江南』(2010) 등이 있다.
목 차
목차 한국어판 서문_ 청나라 역사 이해의 관건: ‘정통성’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서론_ ‘한화漢化 모델’의 득과 실, 그리고 ‘강남’의 복잡한 의미 제1장 잔산잉수의 비유와 청초 사인들의 처세 1절 잔산잉수의 비유: 남송과 명말 2절 잔산과 잉수 사이: ‘출사’와 ‘은거’의 이중적인 어려움 제2장 예제질서의 재건 및 ‘사-군’ 관계의 재정리 1절 잔산잉수를 수습하다: 풍속이 바뀐다는 것의 의미 2절 사士―군君 교화 역할의 전환 제3장 중생을 이롭게 하려는 노력과 사풍의 전환 1절 복사復社 ‘잔당’ 여유량 2절 유민의 ‘벗을 사귀는 도道’와 생계 선택 3절 서로 다른 주자朱子의 ‘옹호자’ 4절 ‘요주의 시문 평선가’ 여유량의 다중적인 신분 제4장 문과 질에 대한 구분: 황제와 사림의 사상 동향과 합류(상) 1절 왕조 교체 시기 사인의 생활 모습과 ‘문질지변文質之辨’의 흥기 2절 문질론의 재구성과 ‘이하지변’의 분쟁사 제5장 문과 질에 대한 구분: 황제와 사림의 사상 동향과 합류(하) 1절 황제의 ‘문질론’에 대한 대응 및 사림 여론과의 합류 2절 청 황제는 강남 풍조의 변화에 어떻게 대응했는가 제6장 청조 정통관의 확립과 역사 서술 1절 ‘정통론’ 계보에 대한 개략적 설명 2절 ‘도통’의 의미에 대한 판별·변경·탈취 3절 역사 편찬 체계 중의 군왕과 사인 4절 유민 사학史學에 내재된 정신의 집단적 붕괴 제7장 ‘경세’ 관념의 변천과 청나라 ‘대일통’ 역사관의 구조 1절 ‘사언私言’은 어떻게 황실의 ‘공언公言’으로 전환되었나 2절 ‘관리와 스승은 하나’라는 복고의 진상 3절 왜 ‘주공’을 숭상하고 ‘공자’를 낮게 평가하는가 4절 관리를 스승으로 삼다: 지방지 편찬과 대일통의 문화적 구성 제8장 문자는 어떻게 옥사가 되었는가 1절 “은거를 핑계로 불교로 귀의한다”고 반드시 “모두 피안에 갈 수 있는 것”은 아니다 2절 역서逆書의 색출과 ‘사람 다루는 기술’ 결론_ 하나의 장소, 네 가지 문제 후기 / 주 / 옮긴이의 말 / 찾아보기
출판사 서평
출판사 서평 한족 중심의 중국사 다시쓰기에 찬물을 끼얹는 작금의 중국 지식계에서 가장 논쟁적인 저작! 도통道統을 둘러싸고 맞붙은 청 황제와 강남 사인들의 암투 방대한 지방지와 개인 문집을 동원한 미시적인 분석 왕조 교체 형극을 짊어진 지식인들은 어떤 길을 걸어갔나? “지식인(士)의 신분과 사상은 늘 정치와 뗄 수 없는 긴장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긴장감 때문에 정치권력의 통제에서 벗어나 독립적으로 사상을 초월하지는 못했다. 특히 청나라 때 이런 긴장감은 끊임없이 왕권에 의해 소멸되었는데, 이 점에서 서방 역사와 근본적으로... 한족 중심의 중국사 다시쓰기에 찬물을 끼얹는 작금의 중국 지식계에서 가장 논쟁적인 저작! 도통道統을 둘러싸고 맞붙은 청 황제와 강남 사인들의 암투 방대한 지방지와 개인 문집을 동원한 미시적인 분석 왕조 교체 형극을 짊어진 지식인들은 어떤 길을 걸어갔나? “지식인(士)의 신분과 사상은 늘 정치와 뗄 수 없는 긴장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긴장감 때문에 정치권력의 통제에서 벗어나 독립적으로 사상을 초월하지는 못했다. 특히 청나라 때 이런 긴장감은 끊임없이 왕권에 의해 소멸되었는데, 이 점에서 서방 역사와 근본적으로 다르다. 최근 들어 청말에 이미 시민사회와 공공영역이 출현했다는 견해가 나오고 있는데, 이는 모두 청 이후의 사 계층이 정치적으로 당했던 잔혹한 운명을 이해하지 못한 데서 나온 천진난만한 생각이다.” _ 저자 후기 “이스라엘 사회학자 아이젠슈타트는 일찍이 서양과 중국의 정치체제를 비교하면서 중국의 통치자들은 ‘문화적’ 취향과 목표에 집중한다고 했다. 이것은 ‘집체-행정’ 혹은 ‘경제-사회’적 취향과 목표를 가진 정권과는 다르다. 중화제국의 문화적 취향과 목표는 정치 전략의 실천과정에서도 깊은 영향을 미쳤다. 중국 통치자들이 특정 문화전통, 문화질서, 문화양식의 유지를 특별히 강조하기 때문이다. 이 세 가지는 정권이 유지될 수 있는 기본적 틀이기 때문에 모든 정치적 목표는 반드시 이를 따라야 한다.” _ 결론 책소개 ‘강남江南’은 어디인가. 얼핏 이 제목은 이 책이 명청대 문화를 주도했던 중국 강남 지역, 즉 창장長江 강 이남의 문화를 소개하는 내용이 아닐까 짐작하게 한다. 그렇다면 큰 착각이다. 일반인들의 인상 속에 박힌 지리적 개념의 ‘강남’이 아니라, 강남 사인士人과 청초 제왕들이 각자 생각하는 상상 속의 ‘강남’의 이미지이며, 그것은 만주족이 세운 청나라의 정통성과 합법성의 근거를 마련해줄 ‘강남’ 사대부 전통의 핵심을 상징하는 것이었다. 즉 이 책은 청 왕조의 ‘정통관正統觀’ 수립의 복잡한 배경과 내용을 탐색하면서 ‘도통道統’의 담지자였던 강남 사인들이 청나라 황제와 도통의 주도권 쟁탈과정에서 어떻게 ‘대일통大一統’의 협조자로 변모하게 되었는지를 고찰한 연구서다. 2010년에 출간된 이 책의 저자는 현재 중국 런민대 청사연구소 부소장이자 박사지도교수인 양녠췬 교수다. 그의 증조부는 중국 근대의 유명한 정치가인 양두楊度(1875~1932)이며 외증조부는 유명한 사상가이자 학자인 량치차오梁啓超(1873~1929)다. 근대 중국의 정치와 사상에 큰 족적을 남겼던 두 사람의 후예로서 그는 처음에 중국 근대 사회사 연구에 관심을 가졌고 『유학의 지역적 분포와 근대 지식집단의 변천儒學的地域分布與近代知識群體演變』이라는 제목으로 박사논문을 썼다. 저자는 중국의 ‘사士’ 계층이, 그들이 굳건하게 지키려 했던 가치관이 어떻게 현실에서 해체되고 개조되고 재편성되었는지 그 과정을 고찰해왔다. 특히 이 책에서는 가치관을 지키기 위한 사인들의 몸부림과 실패할 수밖에 없는 역사적 운명에 방점을 찍는다. 명청교체기와 청나라 초중기를 배경으로 하여 그간 연구되어온 사회사와 신문화사의 여러 명제를 관찰한 뒤 ‘사인’과 황권 간의 복잡한 대립관계를 재구성하여 보여줌으로써 현대 지식인과 국가 정권 간의 관계를 이해하고 현재의 문화 현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희망했다. ‘강남’이란 무엇이고, 왜 ‘강남’이 문제인가 이 책에서 가리키는 ‘하나의 장소’는 물론 ‘강남’ 지역(양쯔 강 이남의장쑤·저장·안후이 성 지역)을 말한다. 하지만 우리가 알고 있는 ‘강남’은 일반인의 인식 속에 박힌 지리적 개념의 강남이 아니라, 사인과 제왕들이 각자 생각하는 상상 속의 강남 이미지다. 남송 이전까지 역대의 제왕들은 ‘중원 쟁탈’을 목표로 삼았고, 이를 합법적 지위를 인정받는 상징적 사건으로 보았다. 이 같은 사상의 지배 아래 공간적 영토를 얼마나 가지느냐에 따라서 통치의 합법성이 결정됐다. 남송 이후 사인과 제왕들의 생각은 계속해서 변했다. 영토를 확장하려면 반드시 ‘도道’를 이해하고 준수해야 했다. 무력 침탈에는 문화 제약이라는 족쇄가 덧씌워졌고, 이로부터 ‘강남’의 특수한 의미는 두드러졌다. 사실 중국 고대사에서 북방 ‘중원’이 지녔던 우아함과 질박함은 화하 문명의 발원지로서의 풍모와 함께 오랑캐의 침범으로 오염됐다. 그래서 어떻게든 강남의 수려한 경치와 연결시켜 한족의 문명을 고수한다는 이미지를 가져야 했다. 북풍北風이 남쪽에 흘러들어가 반드시 ‘강남’의 화려한 문풍을 받아들여야만 야만의 기운을 다 씻어낼 수 있다. 청나라의 황제들이 중원의 주인이 된 뒤 늘 직면했던 문제는 바로 강남의 이미지였다. ‘대일통大一統’의 진의는 쟁탈이라는 두 글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쟁탈은 모든 제국의 건립과정에서 필요한 물적 토대이자, 중원을 차지하는 법적 근거이기도 하다. 그러나 생각해봐야 한다. 강남을 직면했을 때 복잡하게 얽혀 있는 ‘도덕적 승계’와 ‘영토 확장’ 간의 관계를 어떻게 깔끔하게 설명할 것인가. 이를 이민족 제왕들의 정통성의 문제로, 영토 확장과 복종을 단순한 무력 자랑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결국 ‘회유懷柔’라는 밑그림을 그리게 됐고, 이 밑그림은 강남의 사대부 전통과 관계가 있다. 그래서 강남이라는 ‘장소’는 토론해야 할 화두가 됐다. 명말청초라는 중층 구조·정치에서 심리까지 명말 유민들의 비정상적 행위는 왕조의 교체라는 측면에서 보면 단순히 만주족에 대한 반역행위로 보이지만, 사실은 시대의 단절에 대한 상징적인 표현이다. 그러나 자기반성적 입장에서 보면 이 행위는 자신이 속한 명말 문화에 대한 자기 검토와 비판으로 볼 수도 있다. 이런 태도는 청나라 사람들이 일관되게 주장한 ‘질박質朴’한 북방의 생활태도와 일부 합치된다. 청초淸初의 제왕들이 근검, 붕당의 폐해, 예의 중요성을 들어 명대 문화를 비판할 때 명말 유민들 역시 ‘문질文質’ 관계, 강학의 폐해, 예의의 재건 등을 통해 명대 문화를 비판했는데, 바로 이 지점에서 적대적인 쌍방이 잠재적인 동맹 관계로 변할 수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만주족 침입에 대한 청초 사인들의 적대적 태도와 명나라 문화를 거부하는 반성적 태도는 기묘하게 상쇄되고, 이로부터 청 정권 자체의 합법성에 대한 비판적 태도도 약화됐다. 이민족에 대한 반항과 명대 문화에 대한 반성이라는 두 가지 임무가 청초의 특수한 환경과 겹치면서 청의 제왕들은 ‘도통道統’의 권력을 장악할 기회를 얻었다. 이런 저항적 자세와 사치를 반대하는 ‘질박’한 풍조가 결합된 뒤, 질박함을 생활 규범으로 삼았던 만주족은 한족 사인들의 전통적 가치관에 공동체 의식을 느끼게 된다. 하지만 명대 문화에 대한 반성적 태도는 공교롭게도 만주족 문화가 우뚝 설 수 있는 새로운 출발점이 됐다. 여기에는 명대 문화의 언론과 행동을 반대하는 주장, 예컨대 ‘반강학反講學’ ‘반결사反集社’ ‘반당쟁反黨爭’ ‘반심학反心學’ 등과 불교로의 귀의, 은거, 방랑 등의 각종 괴이한 방식이 정신적 해탈의 추구를 포기한다는 측면에서 도리어 새로운 제왕들의 통치를 인정하는 공모행위로 변질될 수도 있다. 물론 이들의 공모가 의식적으로 만들어진 것은 결코 아니다. ‘남송南宋-명말明末’의 은유적 연관성은 공간적 분할에서 시작되고 그 논리는 다음과 같다. 남송의 주희는 ‘도통道統’과 ‘도학道學’을 상층교화와 하층교화의 측면으로 나누어 이야기했고, 명대의 왕양명은 ‘사회’적 측면에서 교화 원리를 제시했지만, 제왕들의 ‘관심觀心’도 매우 중시해 이것을 수신修身의 필요조건으로 삼았다. 덫에 걸린 지식인들--윤
고객 리뷰
평점 리뷰제목 작성자 작성일 내용보기

아직 작성된 리뷰가 없습니다.

반품/교환
· 회사명 : 북앤북스문고   ·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1100로 3308 B1  
· 대표자 : 김대철   · 사업자 등록번호 : 661-10-02383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2023-제주노형-0169   ·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최재혁  

고객센터

(평일 09:30~17:30)
(점심 12:00~13:00)
· 전화 : 064)725-7279 (발신자 부담)
    064)757-7279 (발신자 부담)
· 팩스 : 064)759-7279
· E-Mail : bookpani@naver.com
Copyright © 2019 북앤북스문고.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