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 명창 한시로 읊다

본문 바로가기

회원메뉴

쇼핑몰 검색

통합검색

판소리 명창 한시로 읊다 21세기의 관극시 양장

정가
20,000 원
판매가
19,000 원    5 %↓
적립금
1,000 P
배송비
3,000 원 ( 20,000 원 이상 무료배송 )
배송일정
48시간 배송 예정 배송일정안내
ISBN
9791186853832
쪽수 : 324쪽
최영성  |  문사철  |  2020년 11월 06일
소득공제 가능도서 (자세히보기)
주문수량
 
책 소개
‘판소리 3백년 역사를 장식한 역대 명창들의 삶과 예술을 한시로 기렸다. 주역(周易) 육십사괘의 숫자에 맞추어 64명을 선정하였다. 고수(鼓手)와 명인 약간 명을 포함하였다. 이 작업은 최치원, 이색, 신위(申緯), 이영민(李榮珉)으로 이어져 내려온 관극시(觀劇詩)의 전통을 오늘에 되살린 것이다. 한시의 르네상스를 기대하는 지은이의 염원이 깃들어 있다. 판소리의 역사와 전통음악의 미의식(美意識)을 탐구하는 데 적지 않게 도움이 될 것이다. 관극시란 관극시는 판소리를 감상한 뒤 지은 한시를 말한다. 조선 순조 때의 유명한 시인 자하(紫霞) 신위(申緯)가 처음으로 붙인 말이다. 관극시의 전통은 오래 되었다. 판소리가 나오기 이전에도 전통 연희(演?)를 보고 느낌을 시로 옮긴 경우가 있었다. 신라 말기의 학자 최치원(崔致遠)은 당시의 가면극 오기(五伎)를 보고 그 모습을 다섯 수의 시로 남겼다. ‘향악잡영(鄕樂雜詠)’이 그것이다. 고려 시대의 학자 목은 이색(李穡)은 당시 세모(歲暮)에 대궐에서 역귀와 악귀를 쫓기 위해 행하던 ‘구나희(驅儺?)’를 보고 ‘구나행(驅儺行)’이라는 제목의 장편시를 남겼다. 이런 것들도 관극시의 전통에 넣을 수 있을 것이다. 신위의 관극시는 12수이다. 관극시의 전범을 남겼다는 점에서 그 위상이 높다. 이후 신위의 후배 세대인 송만재(宋晩載)가 ‘관우희(觀優戱)’라는 제목의 절구 50수를 지어 관극시의 전통을 계승하였고, 1930년대 국악애호가인 이영민(李榮珉) 역시 판소리 명창 등 54명의 예인을 기리는 관극시를 발표하여 다시 그 뒤를 이었다. 하나의 장르로 확고한 위상을 정립한 것은 아니지만 최치원으로부터 이영민에 이르기까지 단절되지 않고 내려 왔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전통연희, 판소리의 역사를 연구하는 데 사료로서도 그 기능이 적지 않다.
저자 소개
저자 : 최영성 저자 최영성(崔英成)의 아호는 백사(白史)다. 전라북도 순창에서 태어났다. 1985년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 한국철학과를 졸업한 뒤, 같은 학교 대학원 석·박사과정에서 한국 고대사상과 한국유학사를 전공하였다(철학박사). 영산대학교 국제학부 전임강사를 지낸 뒤, 현재 국립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무형유산학과 교수로 재직(2000-) 중이다. 저자는 한국의 고대사상 연구를 통해 한국사상의 원형을 탐색하는 작업에 힘써 왔다. 이와 관련하여 최치원의 철학사상과 그 현대적 의의를 조명하는 일에 매진하였으며, 최치원의 문집과 『사산비명(四山碑銘)』 등을 역주하여 ‘역주 최치원전집’(1997-98)으로 펴냈다. 또 삼십 대 초반에 한국유학의 통사적(通史的) 저술인 『한국유학사상사』 5권(1994-97)을 펴냈고, 이를 재정리하고 보완한 『한국유학통사』 3권(2,370쪽)을 2006년에 펴냈다. 2015년에 개정 중판이 나온 『한국유학통사』는 한국학 연구의 기초 자료로, 국내는 물론 미국 하버드대학도서관 등 외국의 각급 도서관 한국학 코너에 필수도서로 소장되어 있다. 이 밖에 주요 저서 및 역서로 『한국의 학술연구: 동양철학편』(공저, 2001), 『한국철학사상사』(공저, 2003), 『고운사상의 맥』(2008), 『고운 최치원의 철학사상』(2012), 『한국의 금석학 연구』(2014), 『되짚어 본 한국사상사』(2015), 『사상으로 읽는 전통문화』(2016), 『사상과 문헌을 통한 한국사의 재발견』(2018), 『조선의 밀사 안용복』(2019), 『백사한시집』(2019) 등 다수가 있다. 2019년까지 학계에 발표한 논문은 130여 편이다.
목 차
ㆍ예인찬시(藝人讚詩) 출간을 심축하며 ㆍ소서(小序) ㆍ일러두기 1. 딴청일쑤 명창 고수관(高壽寬) 2. 자연의 솜씨를 빼앗은 송흥록(宋興祿) 3. 덜미소리의 모흥갑(牟興甲) 4. 경드름을 개발한 염계달(廉季達) 5. 자존심의 명창 박만순(朴萬順) 6. 광대 가르친 사부(師傅) 신재효(申在孝) 7. 춘향가의 독보 김세종(金世宗) 8. 서편제의 비조(鼻祖) 박유전(朴裕全) 9. 개천의 용 이날치(李捺致) 10. ‘도리화가’의 주인공 진채선(陳彩仙) 11. 하늘이 시험한 정창업(丁昌業) 12. 외눈에 오수경 쓴 박기홍(朴基洪) 13.비갑이 명창 권삼득(權三得)ㆍ정춘풍(鄭春風) 14. 판소리사의 중조산(中祖山) 감창환(金昌煥) 15. 근대 판소리계의 지존 송만갑(宋萬甲) 16. 새타령의 대명사 이동백(李東伯) 17. 고제 판소리 3대 김창룡(金昌龍) 18. 떡목을 타고난 대명창 정정렬(丁貞烈) 19. 수궁가의 지존 유성준(劉成俊) 20. 나물 뿌리 향내 같은 소리 이선유(李善有) 21. 북과 춤의 일인자 한성준(韓成俊) 22. 동편 소리 서슬 퍼런 장판개(張判盖) 23. 꽃 가운데 신선 이화중선(李花中仙) 24. 가야금병창의 아버지 오태석(吳太石) 25. 가야금의 선인(仙人) 심상건(沈相健) 26. 판소리 새 장을 연 가선(歌仙) 정응민(鄭應珉) 27. 20세기 판소리의 신화 임방울(林芳蔚) 28. 연잎의 푸른 구슬 같은 박녹주(朴綠珠) 29. 동초제의 시조 김연수(金演洙) 30. 저녁 물가의 백학 같은 김소희(金素姬) 31. 아미산의 초승달 같은 박초월(朴初月) 32. 고수가 천직인 이정업(李正業) 33. 온 바탕의 본을 보인 박동진(朴東鎭) 34. 가야금병창의 대모 박귀희(朴貴姬) 35. 고법의 최고봉 김명환(金命煥) 36. 불운을 극복한 비운의 명창 박봉술(朴奉述) 37. ‘박(樸)’과 ‘실(實)’의 명창 정권진(鄭權鎭) 38. 명창에서 고수로 전업한 김동준(金東俊) 39. 풍류춤의 거인 김수악(金壽岳) 40. 현대 동편제의 거목 박송희(朴松熙) 41. 음악의 신 한일섭(韓一燮) 42. 동초제의 중흥조 오정숙(吳貞淑) 43. 보성소리의 거장 조상현(趙相賢) 44. 봄밭 유채꽃 같은 성우향(成又香) 45. 보성소리에 일생을 건 성창순(成昌順) 46. 연향을 못다 피운 안향련(安香蓮) 47. ‘구전성공’의 동편제 명창 송순섭(宋順燮) 48. 아쟁에 소리가 가린 김일구(金一球) 49. 박동진 명창의 30년 짝 주봉신(朱鳳信) 50. 장단 하나로 통하는 김청만(金淸滿) 51. ‘미친산조’의 명인 백인영(白寅榮) 52. 보비위 북의 명인 이낙훈(李洛薰) 53. 국악계의 프리마돈나 안숙선(安淑善) 54. 늘 푸른 명창 김영자(金榮子) 55. 일찍 꺾인 대들보 은희진(殷熙珍) 56. 곰삭은 수리성의 진수 김수연(金秀姸) 57. 아미산 달 그림자 같은 전정민(全貞敏) 58. 춤의 근원을 찾는 차명희(車明姬) 59. 송계(松溪)의 손자 정회석(鄭會石) 60. 송계의 가을달 같은 윤진철(尹珍哲) 61. 왕씨 삼형제의 막내 왕기석(王基錫) 62. 판소리계의 오채봉추 염경애(廉敬愛) 63. 하늘이 낸 소리꾼 장문희(張文熹) 64. 법고창신의 소리꾼 백현호(白現瑚) 부록 1. 관극시를 되살린 이영민(李榮珉) 2. 광대열전을 선보인 정노식(鄭魯湜) ㆍ관극시 명단 ㆍ삼가 백사 선생의 관극시집 출판을 축하하며 ㆍ저자 소개
출판사 서평
고객 리뷰
평점 리뷰제목 작성자 작성일 내용보기

아직 작성된 리뷰가 없습니다.

반품/교환
· 회사명 : 북앤북스문고   ·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1100로 3308 B1  
· 대표자 : 김대철   · 사업자 등록번호 : 661-10-02383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2023-제주노형-0169   ·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최재혁  

고객센터

(평일 09:30~17:30)
(점심 12:00~13:00)
· 전화 : 064)725-7279 (발신자 부담)
    064)757-7279 (발신자 부담)
· 팩스 : 064)759-7279
· E-Mail : bookpani@naver.com
Copyright © 2019 북앤북스문고. All Rights Reserved.